평양만세운동하고 독립자금 모아···평안남도 도청 폭파 의거 지원

2019년 대한민국은 임시정부 수립과 3.1 운동 100주년을 맞았다. 1910년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우리 민족은 끊임없이 항일독립운동을 했다. 1919년 3월 1일 전국 방방곡곡에서 남녀노소 모두 일어나 만세운동을 했다. 다음 달인 4월 11일 독립운동가들은 중국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당시 대한민국 임시헌장 제1조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한다’다. 이는 우리 민족의 자주 독립과 민주주의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여준다. 시사저널e는 임시정부 수립과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국가보훈처 자료를 바탕으로 독립운동에 헌신했던 사람들의 삶을 기사화한다. 특히 대중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독립운동가들을 중심으로 조명한다. [편집자 주]

권기옥 선생 / 이미지=국가보훈처
권기옥 선생 / 이미지=국가보훈처

권기옥(權基玉) 선생은 독립운동가이며 한국인 최초 여성 비행운전사다. 비행기로 일본에 폭탄을 떨어트릴 목적을 갖고 비행운전사의 길로 들어섰다. 학생시절 독립운동 기금을 모으고 평양에서 만세시위운동에 참가했다. 중국 항공학교 1기생으로 입학해 한국 최초의 여성 비행운전사가 됐다. 

◇ 평양에서 만세운동하고 독립자금 모으다

권기옥 선생은 1901년 1월 평안남도 평양부 상수구리에서 태어났다. 선생은 숭의여학교 3학년에 편입한 후 교사 박현숙(朴賢淑)의 권고로 당시 숭의여학교에 결성된 비밀결사대 송죽회(松竹會)에 가입했다. 이 단체를 통해 독립운동에 뛰어들었다.

박현숙 교사는 1919년 민족대표 33인 중 한 사람인 신홍식으로부터 만세운동에 관한 연락을 받고 한선부(韓善富), 김순복(金順福), 차진희(車鎭姬), 최순덕(崔順德), 김명덕(金明德), 장성심(張聖心) 등과 함께 기숙사의 일본인 사감 눈을 피해 태극기를 만들고 애국가 가사를 옮겨 베꼈다.

이들은 태극기와 애국가 가사를 어느 집 장롱 속에 깊이 숨겨 두었다가 치마 속에 감추어 숭덕(崇德)학교 지하실로 운반했다. 3월 1일 숭덕학교에 모인 사람들은 강규찬(姜奎燦) 목사의 개회선언에 이어 김선주(金善柱) 목사가 독립선언문을 낭독하고, 곽건응(郭權應) 목사가 ‘대한독립만세’를 선창하자 학교를 뛰쳐 나와 거리에서 만세운동을 펼쳤다.

3월 4일 교사 박현숙이 체포되고 학교 주변에 형사들이 깔렸다. 그러나 선생은 한선부, 김순복 등 20여 명과 함께 거리로 뛰쳐나가 또 만세를 불렀다. 선생은 이 일로 형사에게 붙잡혀 평양경찰서에서 3주 간 유치장에 감금당했다.

이후 권기옥 선생은 대한민국임시정부 연락원인 임득삼(林得三), 김정직(金鼎稷), 김순일(金淳一), 김재덕(金在德) 등과 함께 독립운동자금을 모금하고 임시정부 공채를 대량으로 판매해 그 자금을 임시정부로 송금했다.

선생은 숭의여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독립운동자금을 모금했다. 학생들은 자신들의 긴 머리카락을 잘라 판 돈을 가져오고 어머니의 패물을 판 돈을 내놓았다.

어느 날 선생은 평양청년회에서 활동하는 김재덕으로부터 평양 근교 30리 밖 과수원에 가서 권총을 찾아다 달라는 부탁을 받았다. 김재덕이 권총을 시험하다 오발해 총소리를 냈고 이 일과 관련해 권기옥 선생은 체포됐다.

일제 경찰은 선생을 혹독하게 고문했다. 유치장 천정에 거꾸로 매달아 물을 먹여 수십 번을 졸도했다. 일본인 다나까(田中) 형사는 검찰에 송치되는 선생의 심문조서에 “이 여자는 지독해서 도무지 말을 않는다. 검찰에서 단단히 다루기 바란다”는 쪽지를 보냈다. 선생은 징역 6월의 실형을 선고 받았다.

◇ 평안남도 도청 폭파 의거 돕다

6개월 형기 후 선생은 1920년 8월 문일민(文一民), 장덕진(張德震) 등으로부터 평안남도 도청을 폭파할 것이니 도와 달라는 부탁을 받았다. 선생은 그들을 만나고 숭현소학교 수위의 도움으로 숭현소학교 지하실 석탄창고에 숨어 폭탄을 만들었다. 며칠 후 평남 도청에서 폭발사고가 일어났다.

한편 당시 평양 숭실학교에는 브람스 밴드를 연주하는 전도대가 있었다. 선생은 이 전도대의 리더인 차광석(車光錫)의 조언을 듣고 한선부, 차순석, 차묘석 등을 구성원으로 ‘평양청년회 여자전도대’를 만들었다. 전국에 흩어져 있는 애국동지들과 연락을 하기 위함이었다.

선생은 전도대장이라는 직분 때문에 경찰에 연행돼 시말서를 썼다. 일제 경찰의 감시가 심해지자 선생은 멸치잡이 배에 숨어 중국 상하이로 탈출했다. 선생은 상하이에서 임시정부 의정원 손정도(孫貞道) 의장 집에서 지냈다.

◇ 한국인 최초 여자 비행운전사 되다

이후 선생은 독립전쟁을 위한 군관 양성을 추진하던 임시정부의 추천을 받아 1923년 4월 중국의 운남육군항공학교(雲南陸軍航空學敎)에 1기생으로 입학했다.

항공학교 입학은 선생의 소녀시절의 꿈이었다. 선생은 항공학교 입학 후 “비행기 타는 공부를 해 일본으로 폭탄을 안고 날아가리라”고 각오했다.

일제는 독립운동을 하는 한국인 여자 조종사가 있다는 소문을 듣고 한국인 청년을 매수해 선생을 암살하도록 시켰다. 이 사실을 안 선생은 이영무, 장지일 등과 함께 그 청년을 공동묘지로 유인해 사살했다.

1925년 3월 드디어 선생은 운남육군항공학교의 제1기 졸업생으로 졸업했다. 이후 임시정부의 소개로 풍옥상(馮玉祥) 휘하 공군에서 한국 최초의 여자 비행사로 복무했다.

선생은 1927년에 장개석(蔣介石) 총통이 북벌(北伐) 할 당시 동로항공사령부(東路航空司令部) 등 10여 년 동안 중국 공군에서 복무했다.

◇ 독립운동가 남편 이상정과 함께 독립운동하다

1928년 선생은 독립운동가 이상정(李相定)과 결혼했다. 1937년 중일전쟁이 일어나자 국민정부의 피난 명령에 따라 선생은 조선민족혁명당(朝鮮民族革命黨) 관련자 등 약 90여 명과 함께 중경으로 갔다.

이후 선생은 중경(重慶)에 있는 국민정부 육군참모학교의 교관으로 임명돼 영어, 일어와 함께 일본인 식별법, 일본인 성격 등에 대해 가르쳤다. 조선민족혁명당의 기관지 ‘망원경’에는 선생 부부가 어떤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쿤밍(昆明)으로 향했다는 등의 기사가 있다.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이상정이 1936년에 임시정부 의정원 의원으로 선출됐던 것으로 미뤄 그 활동이 한국의 독립운동에 관한 것이라고 밝혔다.

1943년에 권기옥 선생은 중경 임시정부 직할로 김순애(金淳愛), 방순희(方順熙), 최선엽(崔善燁), 최애림(崔愛林), 최형록(崔亨祿) 등과 함께 한국애국부인회를 다시 만들었다. 선생은 사교부장으로 활동하면서 한국 여성들을 모아 독립운동 전열에 참가시켰다. 여성들의 독립사상을 일깨웠다.

1945년 광복 후 선생은 1948년 8월 귀국했다. 1950년부터 1955년까지 국방위원회 전문위원, 1957년부터 1972년까지 ‘한국 연감(年鑑)’ 발행인, 1966년부터 1975년까지 한중문화협회 부회장을 지냈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려 1968년에 대통령 표창을 했다. 1977년에는 독립장을 수여했다. 선생은 1988년에 사망해 국립묘지 애국지사묘역에 안장됐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