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잉여원료, 韓소재 합작공장서 가공해 원료 판매···“오랜 신뢰 바탕 사업차질 이상무”

/그래픽=조현경 디자이너
/ 그래픽=조현경 디자이너

일본의 경제보복이 확대·강화되는 추세 속에서 한일 합작화학업체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양상이다. 일각에서는 자존심 다툼으로까지 번지는 이번 갈등으로 협업에 차질을 빚을 것이란 부정적 견해가 나오기도 했다.

8일 시사저널e가 주요 업체 및 관련업계 관계자 등에 확인한 결과, 업계 내부에선 일본의 제재를 피할 수 있는 ‘안전장치’로 봐야한다는 해석이 지배적인 것으로 파악됐다. 일본과의 합작 사업을 펼치는 업체로는 SKC, SK종합화학, 금호석유화학 등이 대표적이다. 합작사들 대부분은 화학원료를 생산하고, 이를 국내외 화학업체들에 판매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영위 중이다.

SKC는 일본 미쓰이와 절반씩 출자해 ‘미쓰이케미칼앤드에스케이씨폴리우레탄’을 설립했다. 또 이 업체는 금호석유화학과 ‘금호미쓰이화학’ 지분을 각각 50%씩 나눠가졌다. SK종합화학의 경우 JXTG와 같은 방식으로 ‘울산아로마틱스’를 운영 중이며 SK머티리얼즈와 일본 트리켐은 각각 65%, 35%씩 부담해 ‘SK트리켐’을 세우고 동업을 이어오고 있다.

합작업체에 출자한 업체 관계자들은 “사업에는 문제가 없다”고 입을 모았다. 양국 간 갈등으로 차질을 빚지 않겠느냐는 지적에 대해선 “신뢰를 바탕으로 장기간 사업을 이어왔고, 일방적인 기술이전을 위한 사업이 아닌 이해관계가 근간이 됐다”며 “동일본대지진 당시 운송비 등의 상승으로 일본의 화학원료 수출이 난항에 빠졌을 때도 한국 업체들이 발벗고 나섰을 정도”라며 과도한 해석을 경계하는 모습이었다.

오히려 합작사가 있기 때문에 이번 경제보복에서 비교적 자유로울 수 있다는 해석도 있었다. 이들 합작업체들은 일정 부문에서 공통분모를 지니고 있었다. 일본 화학사들이 제품을 생산하고 남은 잉여원료를 한국에 세운 합작사 공장에서 새롭게 가공해 이를 재차 투자사 및 국내외 업체들에 판매하는 구조였다.

한 업체 관계자는 “일본정부가 화학업계까지 광범위한 수출규제 정책을 펼칠 경우 스스로 수출길을 막는 꼴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그는 “화학업계의 합작사업 대부분은 서로의 장점을 바탕으로 새로운 부가창출을 노리는 것”이라며 “지극히 가능성이 낮지만, 보복정책이 확대돼 설사 생산에 차질을 빚게 되더라도 시장에서 쉬이 구매할 수 있는 품목들이어서, 합작사를 통한 구입보다 비용부담은 가중되겠지만 대체 또한 가능하다”고 부연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