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위기 때 마다 나라 살리려 나선 국민들···국채보상운동, 의병 운동, 그리고 불매운동

국민들과 시민사회, 학생들이 아베 정권의 수출 규제 강화 조치에 맞서 일본 제품 불매운동, 일본 여행 안가기 운동 등에 나섰다. 일각에서는 감정적 행동이라고 지적했다. 일본 경제단체 경제동우회는 한국민의 불매운동이 오래 가지 않을 것이라며 품질이 좋고 가격이 합리적인 제품은 사고 싶어할 거라고 가볍게 치부했다.

그러나 이는 한국 국민들을 무시한 평가다. 국민들이 일본산 제품 불매 운동에 나서는 것은 역사를 잊지 않았기 때문이다. 일제 강점기 36년 자체가 불법적이었고 그 기간 동안 한반도 국민들의 희생과 피해는 말할 수 없이 컸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강제적으로 일본의 정복 전쟁에 군인으로 동원돼 죽었다. 일본 기업의 노동자로 강제로 끌려가 혹사당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은 전쟁터 이곳 저곳으로 끌려 다니며 성노예가 됐다.

아베 정권의 수출 규제는 이러한 식민지배의 불법성과 반인도적 범죄행위를 부정하는 것이다. 아베 정권은 한국에 대해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에 이어 백색국가 제외를 추진하고 있다. 그 이유로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판결, 한국의 전략물자 관리 체계 불충분 등을 거론했다.

그러나 대법원의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판결은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이 식민지배의 불법성과 반인도적 범죄행위를 담지 않았다는 점, 2005년 유엔총회가 채택한 '피해자 중심 접근' 원칙 결의에 따라 정당하다. 한국의 전략물자 관리 체계도 일본보다 엄격하다. 지난 5월 미국 과학국제안보연구소(ISIS)가 발표한 세계 200개 국가 전략물자 무역관리 제도 수준을 평가한 순위에 따르면 한국은 17위, 일본은 36위였다.

아베 정권의 한국 수출 규제조치 강화 도발은 오랜 기간 준비한 전략이며 장기 계획이다. 근본 목적은 평화헌법 개정을 통해 일본을 전쟁 가능한 국가로 되돌리려는 것이다. 이에 방해가 되는 식민지배 역사의 불법성을 부정하고 피해자의 인권을 외면하고 있다.

이를 국민들은 느끼고 있다. 역사를 왜곡하고 또 다시 제국주의적 야망을 보이는 아베 정권에 대항해 나라 지키기 운동에 나선 것이다.

국민들은 나라의 위기 때마다 나서왔다. 1907년 국민들은 국채보상운동을 전개했다. 구한말 일본은 한반도를 식민지화하기 위해 경제적 족쇄를 채웠다. 우리나라에 강제적으로 돈을 빌려쓰도록 했다. 한국의 재정을 일제에 예속시키고 차관을 통해 식민지 건설을 위한 밑작업을 하기 위함이었다.

이를 간파한 노동자·농민·부녀자·기생·백정·상인·지식인 등 전 계층이 자발적으로 일본에 빚을 갚아 나라를 구하고자 했다.일제 시대 독립운동을 하며 이름 없이 죽어간 수많은 의병들도 있었다.

역사를 잊지 않은 국민들이 아베 정권의 제국주의 야망과 식민지배 역사 왜곡에 대항할 때 이를 막을 수 있다. 제국주의 세력인 아베 정권이 가장 무서워하는 것은 역사를 잊지 않고 대항하는 한국민들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