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가 전문약 처방권 갖고 있어 변경 쉽지 않아···일부 지역약사회, 불매운동 참여

그래픽=이다인 디자이너
/ 그래픽=조현경 디자이너

최근 최악을 치닫는 한일갈등으로 인해 일본계 제약사 움직임이 주목 받고 있다. 일본계 제약사들은 전문의약품의 경우 의사가 처방권을 갖고 있어 영업과 매출에 있어 이번 사태의 직접 여파는 적다고 밝히고 있다. 반면 일반의약품은 일부 지역약사회의 불매운동 움직임 등으로 인해 일부 타격이 예상된다. 

2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한국오츠카와 한국에자이, 한국아스텔라스제약, 한국산텐제약, 한국다케다제약, 한국다이이찌산쿄, 한국쿄와기린, 미쓰비시다나베파마코리아, 한국오노약품공업, 한국코와 등 10여개 일본계 제약사들이 활동하고 있다. 이 제약사들은 최근 불거진 한일갈등에 당혹해하며 대책 등을 논의하고 있다. 일단 약업계 특성상 국내에서 활동하는 일본계 제약사 품목을 전문약과 일반약으로 구분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선 전문약의 경우 현재로선 한일갈등에 따른 직접 여파는 영업과 매출에서 적은 것으로 파악된다. 일단 전문약 처방권은 의사에게 있다. 의사들도 기존 전문약 처방 패턴을 한일갈등 때문에 일방적으로 변경하기 힘들다는 분석이다. 물론 환자들도 의사에게 처방 변경을 요구하기 힘든 상황으로 풀이된다.

일본계 A제약사 관계자는 “과거 축구 한일전에서 한국이 졌을 때 의사들이 농담반 진담반으로 일본계 제약사 영업사원들에게 당분간 오지 말라고 한 적이 있었다”며 “하지만 당시에도 전문약 처방은 쉽게 변경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일본계 B제약사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전문약 수준에서 일부 차이가 나는 품목이 있다”며 “국산 의약품과 기술 차이가 나는 품목들 대체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즉, 국산 의약품과 기술적 차이가 있는 전문약 품목의 경우 최근 한일갈등을 감안해 처방을 변경하기 어려우며 대체 품목을 구할 수도 없다는 제약사들 설명이다.

다만 최근 모 일본계 제약사 고혈압치료제 품목이 모 병원에서 코드가 빠진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전체 의료기관에서 코드가 빠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여파는 미미할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일반약이나 헬스케어 제품의 경우는 전문약과 다소 다르다. 의사 처방이 필요 없으며, 일본제품 불매운동 여파가 우려된다는 것이다. 다른 제약사에 비해 일반약 비중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일본계 C제약사 관계자는 “(한일갈등)여파가 없을 수 없다”고 일부 영향을 인정했다. 이 관계자는 “회사 내부 이슈가 아니며, 정치적 이슈이기 때문에 어려움이 많다”고 호소했다.

역시 일반약 비중이 높은 일본계 D제약사 관계자는 “(한일갈등에 따른) 현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있다”면서 “환자중심주의를 최우선가치로 판단하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처럼 상대적으로 일반약 비중이 높은 일본계 제약사들이 상황을 주목하는 것은 일부 지역약사회가 일본제품 불매운동에 참여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 전북약사회는 지난 19일 성명을 내고 “아베 정부의 경제보복조치가 철회될 때까지 모든 일본 제품과 일본의약품에 대한 불매운동에 나서겠다”고 밝힌 바 있다.

경남약사회도 최근 성명서를 통해 “아베 정부의 후안무치 행동을 일본 국민에게 알려주고 발전적 한일 관계를 추구하고자, 그리고 일본 원자재와 소비재에 의존하는 국내 기업들 편함과 효율의 끝은 예속임을 알리고자 경남약사회원들은 일본 의약품 판매와 소비를 자제키로 했다”고 강조했다.

일반약을 약국에서 자주 구매한다는 소비자 E씨는 “전문약은 의사와 환자가 알아서 결정할 문제지만 일본계 제약사의 일반약 판매 물량은 점차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처럼 한일갈등으로 일본계 제약사 영업과 매출에 관심이 집중되는 가운데, 핵심은 향후 갈등이 얼마나 진행되느냐로 압축된다. 복수의 제약업계 관계자는 “현재로선 타격이 적지만 갈등이 얼마나 지속되느냐와 또 다른 갈등이 나오느냐에 따라 많은 변수가 있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