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LG화학 등 일본 추가 규제 우려에 주가 영향
“日규제, 전기차 배터리 산업으로 확대 우려감 발생”

문재인 대통령이 6월28일 오전 인텍스 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공식환영식에서 의장국인 일본 아베 신조 총리와 악수한 뒤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6월28일 오전 인텍스 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공식환영식에서 의장국인 일본 아베 신조 총리와 악수한 뒤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일본 정부의 한국 반도체 기업을 겨냥한 수출 규제가 전기차 배터리와 수소차 등 차세대 기술로 확대될 우려가 나오면서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크게 떨어졌다. 이 분야 연구개발(R&D)의 필수 소재·부품도 일본에 의존하고 있어 규제를 할 경우 생산 차질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전기차 등 미래 기술 분야 주가가 일본의 추가 규제 표적이 될 수 있다는 우려로 하락세를 보였다. 최근 전기차 시장 확대에 따라 핵심 동력원인 배터리 수요 증가가 예상되면서 전기차 배터리(2차전지) 관련주가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7월 들어 일본 정부의 국내 반도체 기업을 겨냥한 경제 봉쇄가 시작된 후부터 전기차 배터리 관련 기업 주가는 크게 떨어지기 시작했다. 

대표적으로 주요 배터리 제조기업인 삼성SDI 주가는 지난 5일 23만8500원 종가를 기록한 이후 약세를 보이기 시작하며 이날까지 2.93% 하락했다. 이 외에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 주가도 같은 기간에 각각 4.79%, 4.05% 떨어졌다. 

이 외에 부품·소재를 생산하는 기업들의 주가도 모두 떨어졌다. 포스코케미칼(음극재, 양극재) 주가는 5일 이후 이날까지 6.61% 떨어졌고 일진머티리얼즈(동박)는 3.19%, 상아프론테크(캡 어셈블리)는 9.40% 각각 하락했다. 

/ 도표=이다인 디자이너
국내 전기차 배터리 관련 제조기업 주가 추이 / 도표=이다인 디자이너

업계는 일본 정부가 반도체 부품 소재에 이어 우리나라에 대한 수출 규제를 확대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일본 NHK도 지난 8일 “한국이 수출규제 품목 등 원자재의 적절한 관리개선 움직임이 없으면 규제강화 대상 품목을 확대할 수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반도체 소재와 마찬가지로 추가 규제 대상 역시 일본 의존도가 높은 분야일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이에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들이 일본 의존도가 높고 특히 최근 정부의 관심이 집중된 수소차 관련 연료탱크 재료인 탄소섬유는 전적으로 일본에 의지하고 있어 추가 규제가 나온다면 표적이 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황민성 삼성증권 연구원은 “(일본 규제가)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를 넘어 한국 정부가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키우고 있는 전기차 배터리 산업으로 확대될지 모른다는 우려감이 생기고 있다”며 “다만 2차전지를 구성하는 4대 재료(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시장에서 일본 공급선들이 일정하게 포진하고 있지만 일본 제품 공급이 여의치 않다 해도 경쟁적인 공급처가 존재하는 등으로 생산 차질을 준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