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주도로 혁신추진단 출범···스마트공장 대·중소기업 상생형 업무협약도 체결

2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출범식 및 스마트공장 상생 협약식에서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등 참석자들이 협약서에 서명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차여경 기자
2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출범식 및 스마트공장 상생 협약식에서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등 참석자들이 협약서에 서명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차여경 기자

“지난해까지 스마트공장 7903개를 보급했다. 도입 기업은 불량은 줄고 생산성이 높아지면서 일자리가 평균 3명이 증가하는 등 성과가 높다."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2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출범식과 스마트공장 상생 협약식에서 “기업 규모에 따라 스마트공장 설립 단계별 지원을 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스마트공장 관련 유관기관장 26명과 상생형 스마트공장 보급사업 참여기관 13개사 등 총 150여명이 참석했다.

스마트공장은 현재 정부 8대 혁신성장 선도사업 중 하나다. 인공지능(AI)과 로봇 등 신기술을 제조업에 도입해 스마트제조혁신을 구축하는 것이 골자다.

이번에 출범된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은 오는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3만개 보급, 제조혁신 연구개발(R&D)·표준화 등을 종합 지원한다. 추진단은 지난해 발표된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 일환으로 중소기업 생산현장의 스마트화를 추진하기 위해 신설된 핵심기관이다. 민간 출신 박한구 전 사단법인 한국인더스트리4.0 협회장이 초대 단장으로 영입됐다.

박 단장은 “스마트공장 사업을 추진하던 두 개 기관이 하나가 된 만큼, 양 기관의 강점을 살리는 방향으로 조직을 운영할 계획”이라며 “실무경험이 많은 박사급 연구인력을 채용해 그간 부족했던 정책지원 기능을 보완하고, 민간에서 스마트공장을 운영한 경험을 적극 활용해 스마트제조혁신 정책의 버팀목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간 제조업 중심 중소기업들은 전통적인 기술로 공장을 운영하고 있어 혁신기술을 도입하기가 어렵다는 지적이 나왔다. 스마트공장을 도입할 자금이나 인프라도 부족한 상황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이에 정부는 상생형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을 지난해부터 진행 중이다.

올해도 8개 대기업 및 공공기관이 상생형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에 참여 의사를 밝혔다. 삼성전자, 현대차동차, LG전자, 포스코, 두산 5개 대기업이 상생 협약에 참여한다. 공공기업으로는 한국수력원자력, 한국남동발전, 한국중부발전이 합류했다.

이 협약을 통해 대기업은 중소기업이 스마트공장 사업을 협업해야 한다. 지원비율은 정부, 대기업, 중소기업이 각각 30%, 30%, 40%를 부담한다. 특히 대기업은 상생형 사업을 활용하면 스마트공장 지원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참여율이 늘고 있다.

지난해 4개 대기업이 스마트공장 협약에 참여해 120억원을 출자했는데, 1년 새 참여 기업 수와 투자금이 2배 가까이 늘었다. 올해는 8개 기업이 중소기업 스마트공장에 210억원을 투자한다.

협약식에 참여한 대기업 관계자는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것은 당장에는 비용처럼 느껴지지만 실제로는 참여하고 있는 대기업의 경쟁력이 높아지는 투자 성격도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중기부는 대기업과 협력사 간 복지 인프라 공유, 중소기업 기술지원, 상생결제 확대, 대기업 유통망 공유 등 다양한 상생협력 방안을 계획 중이다.

박 장관은 “기업 규모나 고도화 수준에 따라 디지털화, 지능화, 융복합화에 이르는 단계별 지원을 강화하겠다”며 “스마트공장 빅데이터 플랫폼과 센터를 구축하고, AI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해 중소기업도 대기업처럼 미래 수요를 예측하고, 불량 원인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