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이하 청년 귀농 2013년 이후 최대···정부, 예산·교육 확대 등 지원
귀농 희망자는 지역민 텃세 걱정···“주민화합 중요, 과잉걱정은 불필요”

/ 사진=셔터스톡
/ 사진=셔터스톡

#서울 구로구에 거주하는 30대 남성 A씨는 최근 귀농을 고민하고 있다. 250만원 남짓한 월급으로는 생활비도 빠듯하고 고향인 전북 익산에서 부모님이 농사를 짓고 있어 정착도 수월할 것 같다는 생각이다. 하지만 귀농 자금과 농업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해 망설이고 있다.

최근 농촌으로 돌아오는 40대 이하 청년층이 늘어나면서 이들에 대한 정책 지원이 강화되고 있다. 대출 등 재정 지원 확대와 지역민과의 융화 프로그램 등을 진행해 인구 증가와 지역 활성화 등 발전을 꾀하는 것이다.

28일 농림축산식품부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 인구는 1만7856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40세 미만 청년층은 전년 1325가구 보다 2.3%(31가구) 증가한 1356가구였다. 귀농 통계를 시작한 지난 2013년 이후 가장 큰 규모다. 

농식품부 측은 “지난해 신규 도입한 청년 창업농 영농정착지원사업 등 청년농 육성정책이 성과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고 풀이했다.

◇청년층, 농업 가능성 보고 귀농 선택···정부도 예산 확대 등 적극 지원

2018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청년층은 귀농의 이유로 농업의 비전과 발전가능성(29.0%)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가업을 승계하기 위해(18.6%), 도시생활의 회의(16.7%), 자연환경이 좋아서(10.2%) 순이었다.

실제 상당수 청년층이 농업에 대한 가능성을 보고 귀농을 택하고 있다. 지난해 청년층 귀농귀촌 우수사례자로 선정된 박미선(36)씨는 “지난해 경제적 어려움으로 어린이집 교사를 그만두고 딸기농사를 시작했다”며 “처음엔 아이 교육에 대한 걱정과 생소한 분야에 도전한다는 두려움도 있었지만 경험 있는 친지 도움으로 정착했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와 올해 농사는 품목을 차별화 한 게 주효해서 아주 잘됐다”며 “아직 큰 수익이 많이 나는 단계까지는 아니지만 귀농에 만족한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청년 귀농인의 증가가 농촌 살리기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 자금 지원과 영농기술 교육 등 지원책을 적극적으로 내놓고 있다. 올해 귀농 창업자금 예산을 기존 3000억원에서 4572억원으로 증액한다. 귀농 전 직업경력과 기술·자격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농외 일자리 연계서비스도 강화한다. 청년 귀농인을 위해 실습중심의 체류형 ‘청년귀농장기교육’ 역시 확대 지원한다. 

이시혜 농식품부 경영인력과장은 “청년 귀농을 위한 대표적인 사업으로는 월 최대 100만원 최장 3년까지 지원하는 청년농업인 영농정책지원사업이 있다”며 “귀농인 정책 중엔 귀농창업자금으로 3억원까지 지원되고 주택구입자금으로 7500만원까지 지원되는 농업창업자금 지원책의 예산 규모가 가장 크다”고 말했다.

이 과장은 농업에 관심이 있더라도 사전에 관련 기술을 철저하게 습득한 다음 귀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농업 기술은 ‘귀농인 장기 교육’이라고 농사를 6개월 정도 지어보도록 지원하는 사업이 있다. 이런 사전 준비가 더 철저하게 이뤄진 다음 귀농해야 한다”며 “어디로 이주를 할 것인지 어떤 품목으로 할 건지 그 품목을 농사짓기 위한 기술 습득 등이 철저하게 준비가 된 상태에서 귀농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표=조현경 디자이너
/ 표=조현경 디자이너

◇귀농 희망자 상당수 지역민 텃세 걱정···실제는? 

귀농을 희망하는 젊은이 중 상당수는 텃세 등 지역 주민과의 관계를 걱정한다. 실제 귀농 유형을 보면 농촌에서 태어나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의 이주 비율이 가장 높았다. 연고가 전혀 없는 곳에 귀농을 할 경우 지역민 텃세에 정착이 쉽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는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실태조사에서 청년 귀농인 중 지역주민과 관계가 좋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은 2.0%에 불과했다. 지역 주민과의 관계를 지나치게 걱정할 필요는 없지만 이를 간과해서도 안된다는 지적이다. 

한 농업인은 “청년들이 농촌에 돌아오는 걸 반대하는 사람은 없다. 다만 사람 관계라는 게 미묘한 면이 있어서 젊은이들이 손해 볼 수 없다는 생각만 가지면 다른 주민과 갈등의 골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박미선씨는 “농촌 문화에 적응하는 게 가장 어려웠다. 젊은 사람이 귀농하면 텃세가 좀 있다”며 “마을회관이나 작목반, 주변 농가와 친해지기 위해 많이 나섰다. 어르신들께봉사활동하고 베풀고 모르는 건 배우고, 교육 다니면서 알게 된 건 알려드리기도 했다”고 전했다.

귀농인들이 참여하는 지역 활동은 마을회의나 행사가 89.7%로 가장 많았다. 기타 지역단체나 귀농귀촌인 모임 등의 순이었다.

정부는 귀농인과 지역주민과의 갈등 완화를 위해 올해부터 ‘마을단위 찾아가는 융화교육’을 진행한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