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경제활성화 로드맵 발표 후 관련업계·학계 등 연구에 탄력
文대통령, 현장행보 이어가며 노르웨이 MOU 예정 등 국제적 협력 강화도
수소자동차 등에서 ‘수소열차’로 논의 확산···높은 기술력 바탕으로 핵심기술 선점 노력

/그래픽=이다인 디자이너
/그래픽=이다인 디자이너

‘수소경제’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는 분위기다. 정부가 수소경제를 전략 투자 분야로 선정하고,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등을 발표하면서 관련 업계와 학계 등에서 개발‧논의 등에 탄력이 붙고 있는 것이다.

또한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5일 경남 창원시 ‘수소버스 제막식’, ‘도심형 수소충전소 시찰’ 등 수소경제 관련 현장 행보를 이어가고, 오는 11일부터 13일까지 노르웨이 국빈 방문 중에 ‘수소-저탄소 경제 분야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는 등 수소에너지 분야 국제적 협력 강화에도 힘을 싣고 있어 수소경제 분야 개발‧논의는 더욱 속도가 날 것으로 전망된다.

수소경제 분야에 대한 개발‧논의가 가장 두드러지는 분야는 모빌리티(mobility, 운송수단) 분야다. 경남 창원시에서는 수소버스가 시범 운행 중이고, 지난달 30일 현대자동차는 국회 내 수소충전소 착공식‧협약식과 서울 시내 첫 상업용 수소충전소 설치에 돌입하기도 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1월 17일 발표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서 수소 모빌리티 관련 청사진을 밝힌 바 있다.

로드맵에 따르면 오는 2022년까지 수소승용차 8만1000대(내수 6만5000대, 수출 1만6000대)를 생산하고, 오는 2040년까지는 620만대(내수 290만대, 수출 330만대)를 생산하겠다는 계획이다. 올해 신규 수소승용차를 4000대 이상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오는 2022년까지 막전극접합체, 기체확산층 등 핵심부품 국산화율 100%를 달성하고, 오는 2025년까지 연 10만대의 상업적 양산체계를 구축해 수소차 가격을 내연기관차 수준으로 인하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오는 2040년까지 수소충전소도 1200개소를 구축하고, 수소버스와 수소택시도 각각 4만대, 8만대를 보급하는 등 수소 모빌리티로의 ‘대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수소 모빌리티 분야의 개발‧논의 등 노력은 ‘수소열차’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특히 수소열차의 핵심기술을 선점하게 될 경우 향후 ‘수소경제 시대’를 이끄는 리더가 됨과 동시에 무궁무진한 경제효과도 기대돼 주목받고 있다.

때문에 세계 주요 국가들의 수소열차를 둔 치열한 경쟁은 이미 시작됐다. 지난 2015년부터 수소연료전지 하이브리드 트램 개발을 시작했던 중국은 지난 2017년 10월 3량으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트램(Skoda15T, CRRC)의 상업 운행을 시작했다. 프랑스도 지난해 5월 수소열차(ALSTOM) 시범운행을 마쳤고, 올해 하반기부터 독일에서 상업운행을 앞두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들 국가들보다 수소열차 개발 작업을 뒤늦게 시작했지만, 수소자동차 개발 등에 높은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는 만큼 빠른 속도로 격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실제로 현재 국토교통부와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개발 중인 수소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동력 시스템을 적용한 철도차량은 오는 2022년 개발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고, 조만간 내구연한이 도래한 경유 철도차량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알려졌다.

김길동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스마트전기신호본부장은 10일 국회에서 열린 ‘수소열차 개발과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한 토론회’에 참석해 이 같이 밝혔다. 또한 그는 “통근형 철도차량으로 활용될 수 있는 이 기술은 차세대 친환경 철도차량의 핵심기술”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수소열차 개발‧보급에 대한 집중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정청래 한국철도공사 기술본부연구원장은 “국내 수소 및 연료전지 산업을 위한 지원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면서, 수소열차 개발, 관리방안, 기술 기준, 유지 보수, 엔지니어링 경험, 제도, 법령 등에 대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