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직·간접적 창출 기여도 8월 중 공개 예정···“순위 발표 없지만 부담은 불가피”

지난해 8월 29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금융권 공동 채용박람회 현장/사진=연합뉴스
지난해 8월 29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금융권 공동 채용박람회 현장/사진=연합뉴스

 

금융당국의 일자리 압박에 은행권이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오늘 8월까지 은행권을 대상으로 일자리 창출 효과를 측정할 계획이다. 금융감독원과금융연구원, 노동연구원 등이 합동으로 참여하며 이달 중 은행으로부터 관련 자료를 제출받아 측정을 시작한다.

측정 대상은 8개 시중은행(신한, KB국민, 우리, KEB하나, NH농협, 수협, SC제일, 한국씨티)과 6개 지방은행(대구, 부산, 경남, 광주, 전북, 제주)이다. 비대면 창구 위주 영업으로 인해 기업대출이 제한되는 인터넷전문은행은 제외됐다.

주요 점검 항목은 크게 ‘자체 일자리 기여도’와 ‘간접적 일자리 창출 기여도’로 나뉜다. 자체 일자리는 금융회사가 직접 고용하거나 아웃소싱을 통해 창출하는 일자리를 의미한다. 금융당국은 일자리 수와 함께 취약계층으로 분류되는 청년·여성·비정규직 채용 비율 등도 함께 측정한다.

간접적 일자리 창출 기여도는 각 산업에 지원한 자금 규모와 고용유발계수 등을 활용해 측정할 방침이다. 고용부와 지자체 등의 인증을 받은 고용우수기업과 창업기업, 자영업자에 지원한 자금도 기여도에 포함된다.

금융위는 경제 여건 변화에 따른 금융권의 일자리 창출 현황과 구조적 변화 추세 등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이번 측정을 실시한다고 설명했다. 때문에 개별 단위 은행이 아닌 은행권 전반의 총괄적 기여도를 위주로 측정할 예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취지와는 별개로 은행권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지속적으로 신규 채용을 늘리고 있는 상황에서 평가까지 이뤄지면 부담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올해 채용 계획을 이미 발표한 신한은행의 경우 지난해보다 100명 늘어난 1000명을 채용할 예정이며, 우리은행도 지난해보다 100명 많은 1100명을 채용할 계획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정부가 바뀌고 나서 은행들이 가장 많이 신경 쓰는 분야 중 하나가 일자리 창출”이라며 “비록 개별 은행에 점수가 매겨지는 것은 아니지만 자료를 제출하고 평가를 받는다는 것 자체가 부담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부문별 우수 사례도 있기 때문에 노력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특히 자체 일자리 기여도의 비정규직 채용 비율 등은 숫자로 드러나는 것이기 때문에 더욱 신경이 쓰인다”고 말했다.

실제로 4대 시중은행의 총 직원 수 대비 기간제 직원 수의 비율은 2016년 말 3.93%에서 지난해 말 5.94%로 상승했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퇴직 후 재채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측면까지 평가에 반영될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간접적 일자리 창출 기여도의 측정 방법이 혁신기업 지원 정책과 상반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산업연구원의 산업통계포털사이트(ISTANS)에 따르면, 지난 2015년 기준 고용유발계수가 가장 높은 산업은 33.45명의 사회복지서비스업이었다. 22.78명의 사업지원서비스업이 2위를 차지했으며 사업시설관리서비스업이 18.09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이들은 사업시설의 청소와 방제, 인력 소개 등을 주로 하는 업종으로 금융당국이 강조하고 있는 혁신 성장 지원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분야다. 반면 혁신과 관련된 통신서비스(6.46), 정보서비스(7.93), 금융·보험서비스(7.78) 등은 모두 고용유발계수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은행권의 관계자는 “간접적 창출 기여도에서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서는 단순 서비스 분야에 많은 자금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해 보인다”며 “이는 그동안 혁신 성장 지원을 강조했던 흐름과는 너무나도 다르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