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 대표 양한묵 선생, 3.1 독립선언식 참여해 '독립만세' 외쳐···감옥에서 순국

2019년 대한민국은 임시정부 수립과 3.1 운동 100주년을 맞았다. 1910년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우리 민족은 끊임없이 항일독립운동을 했다. 1919년 3월 1일 전국 방방곡곡에서 남녀노소 모두 일어나 만세운동을 했다. 다음 달인 4월 11일 독립운동가들은 중국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당시 대한민국 임시헌장 제1조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한다’다. 이는 우리 민족의 자주 독립과 민주주의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여준다. 시사저널e는 임시정부 수립과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국가보훈처 자료를 바탕으로 독립운동에 헌신했던 사람들의 삶을 기사화한다. 특히 대중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독립운동가들을 중심으로 조명한다. [편집자 주]

이미지=국가보훈처
양한묵 선생 / 이미지=국가보훈처

일제 검사: 피고는 조선이 독립이 될 줄 아는가?

양한묵: 반드시 되리라는 생각은 없어도 독립을 계획하는 것은 조선인의 의무라고 생각했다.

일제 검사: 앞으로 또 독립운동을 할 것인가?

양한묵: 지금 강화회의에서도 민족자결이 제창됨으로써 일본정부의 원조로 자립할 것이라고 생각해 금번의 독립운동을 한 것이고, 금후도 기회만 있다면 할 생각이다. 그런데 나는 야심이 있어서 한 것이 아니고 독립으로써 조국이 부흥된다면 대단히 좋겠다고 생각하고 나의 직책인 천도교의 포교에 종사할 것이다.

1919년 3.1 독립만세운동에 참여로 일제 경찰에 붙잡힌 양한묵 선생이 일제 담당 검사와 주고받은 대화다.

양 선생은 민족대표 33인의 한사람으로서 3.1독립만세운동을 위한 독립선언식에 참여했고 독립만세를 외쳤다. 천도교인들의 독립만세운동 참여도 이끌었다. 일제에 탄압에도 독립 운동의 뜻을 굽히지 않은 선생은 결국 고문으로 감옥에서 순국했다.

양한묵 선생은 1862년 음력 4월 29일 전남 해남군 옥천면 영계리에서 태어났다. 호는 지강(芝江)이다. 선생은 시골의 양반으로 대접받는 집안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선생의 집안은 이웃들을 도왔다. 할아버지는 수리사업으로 농민들로부터 칭송을 받았다. 아버지는 1886년 전국에 콜레라가 유행할 때 많은 생명을 구했다. 어머니는 1857년 가족과 상의해 집안의 노비를 풀어줬다. 이에 선생의 집안은 1894년 동학농민운동 당시 피해를 입지 않았다.

동학을 통해 사회 개혁 추진하다

양한묵 선생은 농민 등 피지배층이 정신 구원과 세상의 개혁을 위해 동학에 입교하는 것을 지켜봤다. 선생은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난 1894년 동학과 직접 만난다.

1894년 선생은 고향 능주에 있었다. 당시 능주에는 남원대도소 김개남과 동학농민군이 있었다. 이들은 자금과 식량을 마련하기 위해 활동했다. 전라남도의 장흥·보성에서 활동하던 동학농민군들도 체포돼 능주목으로 압송됐다. 당시 선생은 사형을 당할 무수한 동학농민군을 구출했다.

사진=국가보훈처
사진=국가보훈처

선생은 1897년 중국의 북경·천진·산동 등지를 돌아다니며 풍전등화에 처한 조국의 상황을 지켜봤다. 1898년 선생은 일본으로 건너갔다. 여기서 동학의 교주 손병희를 만났다. 선생은 손병희가 러일전쟁의 상황을 이용해 민회운동을 전개하려던 1904년 동학에 입교했다.

국가보훈처는 “선생이 동학에 들어간 것은 동학의 평등사상과 개벽사상에 공감한 때문이기도 하지만, 동학 세력의 힘을 이용해 정치와 사회의 개혁을 이루려던 열망에 따른 것으로 여겨진다”고 했다.

 

 

황무지개척권 달라는 일제의 요구에 반대

양한묵 선생은 1904년 7월 황무지개척권을 넘겨달라는 일제의 요구에 반대했다. 이를 위해 이동재, 송수만, 심상진 등과 서울에서 보안회(輔安會)를 설립하고 서기로서 활동했다. 우리 민족의 경제적 이익을 지키려고 했다.

선생은 1904년 12월 공진회(共進會) 회원으로도 참여했다. 공진회는 이준(李儁)·윤효정(尹孝定) 등의 독립협회 계열 인사들이 일진회를 타도할 목적으로 설립된 단체다. 공진회는 제도에 입각한 황제의 통치권 행사, 법률에 의한 정부의 행정, 법률에 의한 국민의 권리와 의무 규정 등을 강령으로 삼았다.

선생은 입헌군주정의 실시를 위해 헌정 연구에도 힘썼다. 1905년 5월 윤효정(尹孝定)·이준(李儁) 등과 함께 헌정연구회(憲政硏究會)를 설립했다. 선생은 이를 통해 입헌군주제 실시를 위한 계몽운동을 했다.

양한묵 선생은 1905년 8월 일본에 갔다. 선생은 일본에서 이기·나인영·윤주찬·오기호 등과 포츠머스에서 러일전쟁의 처리를 위한 강화회의가 열린다는 소식을 들었다. 이들은 미국에 가서 한국의 입장을 알리려는 활동을 전개하려고 계획했다. 그러나 일본의 방해로 실패했다. 이에 선생과 동지들은 일본 천황과 총리대신 등에게 자신들의 뜻을 알리고자 서신을 보내는 활동을 했다.

이후 선생은 1909년 12월 22일 이재명(李在明) 등이 이완용을 저격하려다가 미수에 그친 사건에 연루돼 체포됐다. 이재명 사건 관련자 중 오복원(吳復元)과 김용문(金龍文)이 천도교도로 선생의 문인이었다. 일제 경찰은 이완용 저격 미수 사건이 양한묵 선생의 지시로 일어났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보훈처는 “당시 선생은 학생들의 신변을 걱정해 즉각적 행동보다 향후를 대비해 열심히 공부하고 실력을 쌓자는 입장이었다”고 했다. 선생은 1910년 4월 14일 증거불충분으로 석방됐다.

천도교인 민족의식 고취···천도교인 독립만세운동 참여 토대

양한묵 선생은 1905년 손병희를 도와 동학을 천도교로 변경했다. 천도교의 근대화운동을 도왔다.

선생은 교리강습소 교육을 장려해 천도교인의 근대화에 기여했다.

선생은 1907년 6월 지방교구에 “교인의 정성과 면목이 도저히 진리에 몽매하면 교인 자격의 큰 흠절이라. 학교를 설립해 신리학(神理學)과 인계학(人界學)을 아울러 가르치라”고 지시했다. 1908년 7월 20일 선생은 각 교구의 성화실 내에 야간 교리강습소를 설치하도록 했다.

이 교리강습소는 학생들에게 근대적 지식과 민족의식을 고취시켰다. 이는 3.1운동 당시 각지의 천도교인들이 투쟁적으로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한 토대가 됐다.

선생은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전쟁이 끝나면 세계질서가 재편될 것을 예상했다. 이에 노령, 만주, 중국, 미주의 독립운동가들과 연락을 했다. 1915년에는 조선총독부의 천도교인 회유 공작에 대응해 맞섰다.

3·1 독립만세운동에 나서다

선생은 윌슨 미국 대통령이 주장한 ‘민족자결주의’에 따라 한국이 마땅히 독립을 이뤄야 한다고 생각했다. 민족자결주의는 자기 민족의 일은 자기 민족이 처리해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선생은 1919년 2월 20일 서울에 위치한 권동진(權東鎭)의 집에서 지금 파리강화회의에서 민족자결주의 원칙에 따라 속국으로 있었던 나라들을 독립하게 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이를 위해 국권 회복을 희망하는 한국인도 민족자결의 원칙에 따라 독립선언을 할 것이라는 이야기도 알게 됐다. 이러한 독립선언 계획이 손병희·오세창·최린에 의해 추진되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 소식을 듣고 선생은 기뻐하며 찬성했다. 선생은 보성전문학교 교장 윤익선(尹益善)에게 독립만세운동 계획을 알리고 그에게 학생을 동원하도록 했다. 전남 화순에 비밀리에 사람을 파견해 독립만세운동 계획을 알렸다. 이에 화순 지역은 비교적 이른 시기인 3월 15일 독립만세운동이 전개될 수 있었다.

선생은 2월 23일 권동진으로부터 기독교계와 불교계가 힘을 합쳐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기로 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2월 25일 권동진이 보여준 독립선언서의 초안을 검토했다. 선생은 2월 27일 손병희, 이종일, 이종훈 등과 함께 일본 정부와 조선총독부에 제출할 독립선언서에 서명했다.

선생은 3월 1일 오후 2시 태화관에서 열린 독립선언식에 참여했다. 그리고 민족대표들과 함께 “독립만세”를 외쳤다.

선생은 독립선언식 직후 일제에 체포돼 서대문감옥에 갇혔다.

선생은 감옥에 면회 온 아들에게 “몸과 마음이 편안하니 너는 근심하지 말라”며 걱정을 덜어줬다. 그러나 일제의 고문을 감당하지 못했다. 선생은 1919년 5월 26일 서대문감옥에서 세상을 떠났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