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인력 확보 문제 벌써부터 과제로 거론돼
기업들 ‘울며 겨자 먹기’ 하지 않도록 니즈 맞춰주는 것이 관건

사진=셔터스톡
/ 사진=셔터스톡

정부가 제2의 상생형 일자리 창출 모델로 ‘구미형 일자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전 광주형 일자리의 뒤를 이어 경북 구미시에서 진행되는 사업인데, 추진 방식 및 현 상황을 고려할 때 탈 많았던 광주형 일자리 못지 않게 난항이 예상된다는 전망이 나온다.

구미형 일자리 모델이 광주형 일자리 사업과 가장 크게 차이를 갖는 부분은 임금 문제다. 광주형 일자리 사업의 핵심은 근로자 임금을 낮추고 임금협상을 유예하는 대신 여러 복지 혜택을 제공하는 방식을 택한 것이었는데, 구미형 일자리는 임금을 낮추지 않은 채 진행한다. 또 지자체와 기업이 합작법인을 만드는 방식이 아니라, 기업이 직접 운영하는 방식을 택했다는 점도 특징이다.

구미형 일자리 사업의 대상 분야는 배터리산업, 특히 전기차 배터리 부문이 될 전망이다. 이 때문에 LG화학·SK이노베이션·삼성SDI 등 관련 분야 계열사들이 모두 사업 참여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다만, LG화학·SK이노베이션·삼성SDI 관계자들은 하나같이 “공식적으로 드릴 말씀이 없고 구체적으로 진행되는 사안이 없다”고 말을 아꼈다.

이처럼 아직 누가 참여자가 될지도 모르는 사업이지만 업계 관계자 및 전문가들은 장밋빛 전망보다는 우려 섞인 분석을 벌써부터 내놓고 있다.

우선 오랜 준비 기간을 거친 ‘광주형 일자리’조차 정상적인 사업 진행에 어려움을 겪었다는 점에 주목한다. 광주형 일자리 사업 진행 과정을 함께한 한 업계 전문가는 “광주형 일자리는 장기간에 걸친 분석 등을 통해 기업과 지자체 간 니즈(Needs)를 맞춘 가운데 충분한 인프라가 있다고 보고 진행했는데도 이후 어려움을 겪었다”며 “광주형 일자리와 달리 기업이 사업을 구상하는 초기부터 함께하지 않은 구미형 일자리는 더욱 힘들 수 있다”고 분석했다.

광주형 일자리 사업은 처음부터 현대자동차와 함께 기획을 하고 들어간 사업이다. 하지만 구미형 일자리는 우선사업자를 정하고, 그 사업자와 지자체가 ‘윈-윈(win-win)’할 수 있는 접점부터 찾아야 한다.

업계 일각에서는 인력 확보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업계 특성상 전문인력이 꼭 필요한데 난항이 예상된다는 이야기가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업계 관계자는 “배터리 공장을 지으려면 전문성 있는 인력들을 많이 유치해야 하는데, 요즘 전문인력들은 서울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잘 가지 않으려는 분위기”라며 “어떤 기업이든 막상 해당 사업을 시작하게 되면 그 문제가 가장 골치 아픈 부분 중 하나일 것”이라고 전했다. 일자리를 창출하는 사업인데 아이러니하게도 인력을 확보하는 문제를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해당 사업을 성공시키기 위해선 정치적 목적 등을 떠나 기업들이 실질적으로 이득을 볼 수 있게끔 길을 터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 재계 인사는 “지역 연계 사업을 할 때 별 실익이 없다고 판단되면 기업들은 ‘울며 겨자 먹기’로 사업을 하게 되고, 그것은 결국 지역에도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며 “기업들이 신이 나서 사업을 할 수 있는 조건을 제시해줘야 해당 사업모델은 성공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