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대상 지방 창업·취업 지원 방안과 귀농·귀촌 지원 방안 제시

박원순 서울시장이 22일 '서울시 지역상생 종합계획' 행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 사진=서울시
박원순 서울시장이 22일 '서울시 지역상생 종합계획' 행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 사진=서울시

“지방이 소멸하는데 서울만 계속 번영을 누리겠는가.”

22일 공개된 ‘서울시 지역상생 종합계획’은 서울과 지방의 양극화가 장기적으론 공멸로 갈 수 있다는 위기감에서 나온 대책이다. 핵심은 서울과 지방 간 인적 교류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날 서울시청 대회의실에서 서울-지방 상생협력 협약서에 서명한 뒤 “2050년 이내에 대부분의 지방이 소멸할 것이라는 끔찍한 예측이 나온다”며 “지방이 소멸하는데 서울이 혼자 계속 번영을 누릴 수 있겠는가. 절대 아니”라고 강조했다. 이어 “서울도 청년층을 중심으로 일자리가 부족해서 N포 세대니 하는 얘기가 나온다. 서울과 지방 양쪽의 고민을 상생적으로, 사회 연대적으로 보면 해결방법이 나온다”고 말했다.

해결방안은 청년 대상 지방 창업‧취업 지원 방안과 귀농‧귀촌 지원 방안 등 ‘사람’에서 찾았다.

서울시 측은 “서울 청년의 활동무대를 지방까지 확장하고, 지방청년들에게는 서울의 풍부한 교육 자원과 공간 인프라를 확대 개방한다”며 “지방에서 취‧창업을 꿈꾸는 서울 청년들을 발굴하고 지원해 청년들에게 새로운 일자리 기회를 주고 침체됐던 지방에는 활력을 이끈다는 목표”라고 취지를 설명했다.

창업모델은 연간 만 19세~39세 청년 100명을 선발해 창업자원 조사와 아이디어 구체화, 사업모델화를 위한 인큐베이팅 등 단계별로 지원한다. 연차별로 참여 청년 수를 늘려 2022년엔 200명까지 확대한다. 선발된 팀은 사업비로 연 2000만원~5000만원을 지원받는다. 농산촌 창업에서 벗어나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마케팅‧유통, 지역재생·마을활성화, 문화‧복지‧정보서비스 등 분야의 창업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고용모델은 연간 200명 내외를 선발해 지방도시의 소셜벤처, 사회적기업, 마을기업과 연계해 일자리를 지원한다. 서울시와 해당 지자체가 협력해 기업에 인건비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2022년 연 300명으로 규모를 확대할 예정이다.

귀농‧귀촌 지원은 기존 교육 프로그램 중심에서 탈피, 귀농‧귀촌교육, 단기 농촌살이 체험, 실제 농가체류 등 총 3단계 지원으로 체계화한다. 연간 800여 명의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귀농창업교육, 귀촌교육, 귀농‧귀촌지역교류 등을 진행한다. 예비 귀농인들이 단기간 체류하며 농촌문화를 체험해보고 관련 정보도 교류하는 공간인 ‘서울농장’은 올해부터 차례로 문을 연다. 체류형 숙소와 실습을 위한 개인텃밭과 체험장, 편의시설 등으로 구성된다. 연내 괴산, 상주, 영암 3곳을 시작으로 2022년까지 총 10곳으로 확대한다.

아울러 연간 60~70여 가구를 선발해 9~10개월 간 실제 농촌살이 기회를 제공하고 정착을 지원한다. 영주, 무주, 구례 등 6개 지자체와 협업, 서울시는 참여자 모집과 교육비 일부를 지원하고, 해당 지자체는 거주‧체험 공간과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서울시는 이러한 지원을 통해 예비 귀농인의 안정적인 지방 정착을 돕는다는 계획이다. 귀농한 서울의 베이비부머 세대가 현지에 새바람을 일으킬 것이란 기대도 나온다.

박원순 시장은 “서울에서 은퇴했거나 은퇴를 준비하는 50대∼60대 초반의 베이비부머 세대가 약 200만명인데 이분들은 대체로 한강의 기적을 만들어낸 굉장히 유능한 세대”라며 “현재 농민들은 솔직히 말하면 연세가 너무 높으시고 관행에 익숙한 분들이라 아무리 투자를 하고 정책을 펴도 새로운 농업을 일으키기가 쉽지 않지만 서울의 베이비부머 세대가 이동하면 가능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는 이날 인적 교류 외에 지역상생 방안으로 정보교류와 물자교류를 제시했다. 정보교류를 위해 서울시 공무원과 민간 전문가가 각 지역을 찾아가 컨설팅을 해주는 ‘찾아가는 혁신로드’를 도입한다. 물자교류 방안으론 2021년 강서구 마곡지구에 도시농업과 관련한 ‘농업공화국’을 열어 지역 농·특산물 교류를 확대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