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한국과학기술원 공동구연구단과 업무협약
기존 도심지 지하시설물 '공동구' 수용관리 방법 연구

지난해 11월 24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 KT 아현빌딩 지하 통신구에서 발생한 화재 현장. /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11월 24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 KT 아현빌딩 지하 통신구에서 화재가 발생해 소방관들이 진화를 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서울시가 도심지 지하에 매설된 전력, 통신 가스, 상하수도 등 각종생활기반시설을 한 곳에 모아 관리하는 시설인 ‘공동구’에 대한 설치 기술개발 연구를 본격 추진한다. KT 아현지사 화재, 고양 열수송관 파열 등 최근 연이은 사고로 지하시설물 안전관리에 대한 경각심이 커진 가운데 나온 대책이다.

서울시는 최근 서울시청에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공동구연구단과 ‘도심지 공동구 및 Life-Line 기술개발과 정보교류 등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현재 서울에는 여의도, 목동, 가락, 개포, 상계, 상암, 은평 등 총 7개소 33.8km의 공동구가 있으며 시가 관리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200만㎡를 초과하는 대규모 토지에 대한 신도시 택지개발지구 등을 할 경우 공동구를 의무로 설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오래된 기존 도심지엔 공동구가 아닌 전력 통신 등 각종 생활기반시설이 개별적으로 매설돼 있다. 관리 주체도 각 시설별로 달라 통합적인 안전관리가 취약한 실정이다.

서울시 측은 “이 같은 이유로 연구단과 기존 도심지에 설치된 지하시설물을 ‘공동구’로 수용해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번 협약엔 ▲양 기관 간 도심지 공동구 연구정보의 공유 및 협력 ▲기술발전을 위한 공동 이슈의 발굴 및 개선 ▲정책, 제도개선, 교육 관련 업무지원 및 자문 등 상호협력에 대한 내용이 담겼다.

서울시 관계자는 “현재 진행하는 기술개발 연구 기한은 내년까지로 돼 있지만 그 이후에도 후속적으로 준비하고 있다”며 “공동구 사업은 국토부 R&D 과제로 몇 년 간 추진해왔는데 아직 기술개발 외에도 제도적인 문제도 남아 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통신구, 전력구, 공동구, 가스관, 상‧하수도 등 서울시 지하시설물의 총 연장은 약 3만2147㎞에 달한다. 이중 통신구, 전력구, 가스는 민간에서 관리되고 있어 시설물 현황 파악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서울시는 최근부터 그간 현황이 어려웠던 민간 지하시설물 등의 정보들을 시가 운영 중인 지하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에 입력해 관리하고 있다.

서울시는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기존 도심지에서의 공동구 설치 여건이 조성되면, 반복적‧소모적 도로굴착이 수반되는 지하기반시설의 유지관리환경이 개선되고 지하시설물 안전관리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서울시가 지자체 중 지하시설이 가장 복잡하게 돼 있어 테스트베드를 제공할 의향이 있다”며 “다만 아직 초기 단계라 도심지 중 우선적으로 진행할 공동구 설치 후보지가 정해지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