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규갑 선생 아내, 3.1독립만세운동 참여···애국부인회 활동으로 독립운동 자금 모집
일제 고문에도 남편 있는 곳 말하지 않고 지켜줘

이애라 선생 / 이미지=국가보훈처
이애라 선생 / 이미지=국가보훈처

2019년 대한민국은 임시정부 수립과 3.1 운동 100주년을 맞았다. 1910년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우리 민족은 끊임없이 항일독립운동을 했다. 1919년 3월 1일 전국 방방곡곡에서 남녀노소 모두 일어나 만세운동을 했다. 다음 달인 4월 11일 독립운동가들은 중국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당시 대한민국 임시헌장 제1조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한다’다. 이는 우리 민족의 자주 독립과 민주주의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여준다. 시사저널e는 임시정부 수립과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국가보훈처 자료를 바탕으로 독립운동에 헌신했던 사람들의 삶을 기사화한다. 특히 대중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독립운동가들을 중심으로 조명한다. [편집자 주]

독립운동가 이규갑 뒤에는 독립운동가 아내 이애라가 있었다. 이애라 선생은 남편과 함께 3.1 독립만세 운동에 참여했다. 이규갑 선생이 1919년과 1920년대 초 독립운동을 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아내인 이애라 선생의 도움이 컸다. 선생은 1919년 남편인 이규갑 선생의 독립운동을 도왔다. 선생은 독립운동가들과 회합하면서 임시정부를 수립하기 위한 국민대회 소집을 위해 노력했다. 1920년 애국부인회를 결성해 독립운동 지원을 위한 모금운동을 하고 독립사상을 고취시키기도 했다. 이러한 활동으로 선생은 여러 번의 투옥과 고문을 겪었다. 그러나 독립 운동을 포기하지 않았다.

이애라 선생은 1894년 1월 서울에서 태어났다. 이화학당을 졸업하고 이화학당의 교사로 근무했다. 그러던 중 독립운동가인 이규갑(李奎甲) 선생을 만나 20세에 결혼 했다. 이규갑 선생은 독립운동가로서 일생을 보냈다.

1919년 3.1독립운동이 일어나기 전 동지들의 연락을 받고 이규갑 선생은 직장을 그만두고 상경했다. 이애라 선생도 그 뒤를 따라 1남 2녀 중 젖먹이인 막내딸만 안고 서울에 올라와 남편의 3.1독립운동을 뒷바라지 했다. 이애라 선생은 3.1독립운동이 일어나자 만세시위에 참가했다. 이 일로 평양경찰서에 구금됐다. 이애라 선생은 석방이 되자 곧바로 동지들과 함께 독립지사 후원 모금운동에 나섰다.

일본의 만행으로 고통을 겪다

어느 날 이애라 선생은 백일이 갓 지난 어린 딸아이를 업고 친정 형님 집으로 가던 중 일본 헌병을 만났다. 일본 헌병은 등에 업은 아기를 빼앗아 길에 내동댕이쳤다. 아기는 숨을 거두웠다. 이애라 선생은 헌병에 체포됐다.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유득신이 아기의 시체를 거두어 아현성결교회 공동묘지에 묻어주었다고 한다.

독립운동가 이규갑 뒤에는 독립운동가 이애라가 있었다

이규갑 선생이 1919년과 1920년대 초 독립운동을 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이애라 선생의 도움이 있었다. 선생은 1919년 이규갑 선생의 독립운동을 돕기 위해 서울로 올라왔다. 이애라 선생은 한남수(韓南洙), 김사국(金思國), 홍면희(洪冕熹) 등과 비밀리 연락하고 만나 임시정부를 세우기 위한 국민대회 소집을 위해 노력했다.

이들은 3월 1일 직후 ‘비밀독립운동본부’를 만들었다. 임시정부 수립과 국민대회 개최를 위한 준비위원회도 구성했다. 이러한 조직들이 만들어지는 데는 이애라 선생의 노력이 컸다. 당시 이규갑 선생은 3.1운동이 일어난 후 일본 경찰의 감시를 피해 잠적했다. 이에 독립운동 동지들 간 연락은 이애라 선생이 담당했다. 이애라 선생은 비밀리에 동지들과 연락해 이규갑 선생의 은신처에서 회의를 열 수 있도록 했다.

이애라 선생이 투옥 중이던 1919년 4월 이규갑 선생은 신변의 위험으로 국외 망명을 했다. 이규갑 선생은 떠나기 전 이애라 선생에게 국내에서 여성운동을 담당해줄 것을 부탁했다.

이규갑 선생은 1919년 4월 10일 상해에 도착해 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했다. 임시의정원 충청도 대표의원을 거쳐 의정원 청원위원을 했다. 국채통칙(國債通則)과 공채발행조례(公債發行條例)를 통과시키는 등 의정원 활동에서 많은 성과를 냈다. 이규갑 선생은 상해 한인청년단의 서무부장 겸 비서부원으로서 독립운동을 이어나가게 했다.

이애라 선생은 출옥 후 1920년 수원, 공주, 아산 등의 지방교회를 돌아다니며 애국부인회를 결성했다. 선생은 이를 통해 독립운동을 위한 모금을 하고 독립사상을 고취시켰다. 서울에서는 서상숙과 윤득신, 이리에서는 정근선 등과 함께 활동했다.

그러나 공주 지역의 일제 경찰이 이애라 선생을 유치장에 가두고 고문했다. 이규갑 선생의 행방을 추궁했다.

선생은 연악한 몸으로 고문을 받으면서도 끝내 남편의 행방을 말하지 않았다. 고문을 받으면서 여러 번 죽을 고비를 맞았다. 겨우 풀려 나와 아산으로 피신했다.

이애라 선생은 산으로 올라가 동리사람들이 쪄다 주는 겨개떡 등의 음식으로 연명했다.

선생은 고문의 후유증으로 상처가 심했다. 그럼에도 생계를 위해 천안 양대여학교 교사로 취직했다. 이를 통해 두 아이를 키웠다. 그러나 일제 형사들이 매번 찾아와 남편 있는 곳을 말하라며 행패를 부리고 연행했다.

1921년 선생은 독립운동에 전념하기 위해 시숙인 이규풍(李奎豊)이 사는 러시아로 망명하기로 결심했다. 선생은 두 아이와 원산에서 선로를 이용해 함경북도 웅기(雄基)항에 다 달았으나 배에서 내리자마자 일본 순사에게 붙잡혔다.

웅기 경찰서 순사들은 이애라 선생을 고문하면서 이규갑 선생의 행방과 이애라 선생이 가려고 하는 망명지를 심문했다. 이애라 선생은 이미 여러 차례의 고문과 오랫동안의 투옥생활로 목숨이 위태로웠다. 일제 경찰은 숨이 끊어지면 문제가 생길 것을 염려해 의사를 불렀다. 마침 이규풍의 아들이며 이애라 선생의 큰 조카인 이민호(李敏鎬) 선생이 병원개업을 위해 허가를 받으러 경찰서에 왔다가 형사의 요청으로 이애라 선생을 진찰하게 됐다. 이애라 선생과 이민호는 침착하게 서로 아는 체를 하지 않고 진찰을 했다. 이민호는 경찰에 환자의 병세가 위독해 유치장 안에서는 치료할 수 없다고 했다. 이애라 선생은 경찰이 정해준 곳으로 가게 됐다.

남편 만났으나 고문 후유증으로 며칠 만에 숨을 거두다

이민호는 일제 경찰 몰래 선편을 찾아 이애라 선생과 사촌 동생들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로 피신 시켰다.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한 선생은 아이들을 큰 아버지인 이규풍 선생에게 보내고 자신은 병원에 입원했다. 그러나 목숨이 위태로웠다.

남편 이규갑 선생은 당시 러시아에 창설한 한국독립군 사관학교 교장으로서 일본 마적단과 전투를 하고 있었다. 전투 후 이규갑 선생은 형님의 집으로 갔다. 그곳에서 이규갑 선생은 몰라보게 마른 아내 이애라 선생을 만났다. 수년 만에 남편을 만난 이애라 선생은 겨우 며칠을 지낸 후 1922년 9월 4일 숨을 거두었다.

정부에서는 이애라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62년 3월 1일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이애라 선생 충국순의비 / 이미지=국가보훈처
이애라 선생 충국순의비 / 이미지=국가보훈처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