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측 “기존 공동주택에 한해 라돈농도 높아지는 올 겨울 실태조사, 조사대상은 미정”
건축자재 라돈 관리방안은 막바지 논의···내달 수립 후 발표

최근 지어진 신축 아파트 건축자재에서 1급 발암물질인 라돈이 잇따라 검출돼 논란이 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최근 지어진 신축 아파트 건축자재에서 1급 발암물질인 라돈이 잇따라 검출돼 논란이 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올해 초 라돈아파트 제도적 개선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됐지만 이미 준공된 기존 주택에 대한 정부 대책은 해가 지나야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라돈 검출로 불안에 떠는 단지 입주민들의 피해는 당분간 지속될 게 예상된다.

2일 환경부 등에 따르면 환경부와 국토교통부, 원자력안전위원회 등은 기존 공동주택의 라돈 검출 보도로 우려가 제기되는 만큼 공동주택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기존 주택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한다. 다만 시기는 내년이 될 것으로 보인다. 환경부 관계자는 “올해 겨울 실태조사를 하고나면 대응방안 마련은 내년은 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조사기간을 올해 말로 잡은 이유는 환기를 덜 하는 겨울철에 라돈 농도가 높게 측정되기 때문이다. 국내 국립환경과학원은 물론 주요 선진국도 대부분 겨울철 측정을 권장한다.

라돈 조사대상 단지도 미정이다. 올해 초 라돈이 기준치 이상 측정되면서 논란이 된 단지만도 전국에 10여 곳이고 특히 특정 건설사가 시공한 단지가 주를 이룬다. 이 관계자는 이들 단지를 대상으로 할지, 조사대상을 무작위로 선정할지도 아직 미정이라고 설명했다.

정부의 일정대로라면 올해 초 논란이 있은 후 1년이 지난 뒤에야 대책이 마련되는 것이어서 입주민의 불안과 불만은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올해 초 전국 각지의 신축 아파트에서 라돈이 기준치 이상 검출되며 논란이 일자, 국회 및 시민단체 등 각계 각층에서 일상 속 라돈 대책이 절실하다며 움직임을 보였다. 라돈은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가 정한 1급 발암물질인 만큼 국민 건강에 위협적이라는 판단에서다.

실제 정치권만 해도 정동영 민주평화당 의원을 비롯, 민경욱 자유한국당 의원,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 신용현 바른미래당 의원, 이정미 정의당 대표 등이 관련법 개정안을 발의했고, 일부 당은 당 내 라돈대책특별위원회를 설치하기도 했지만 요란한 움직임에 비해 입주민은 1년 이상 라돈에 무방비로 노출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인천 송도의 라돈 검출 아파트에 사는 입주민 A씨는 “현관 발판과 화장실 세면대 등에 라돈을 막기 위한 김장비닐을 깔고 산다”며 “올해 초 입주한 새 아파트에서 누더기 인테리어를 하게 될 줄은 상상도 못했다”고 씁쓸해했다. 또 다른 입주민 B씨는 “기업의 도의적 책임을 기대했지만 해당 건설사는 책임이 없다고 발뺌하는 상황에서 정부 대책발표만 기대했는데 대처 속도가 매우 아쉽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건축자재 라돈 관리방안은 막바지 논의를 거쳐 내달 중 발표 예정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