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 측 전철연과 대치할 때 시공사는 무대응으로 일관
시공사 무성의 공감대 형성에 이달 초 교체위한 회의도
착공 지연 감안하면 현대건설·현산 압박용일뿐 교체 가능성 사실상 적을 듯

명도소송강제집행이 실시된 서울 개포종합상가 앞에서 개포1단지 철거민 대책위 관계자 등이 명도집행관계자들과 충돌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그래픽=조현경 디자이너
명도소송강제집행이 실시된 서울 개포종합상가 앞에서 개포1단지 철거민 대책위 관계자 등이 명도집행관계자들과 충돌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그래픽=조현경 디자이너

 

 

개포주공1단지 일부 조합원 사이에서 시공 주간사인 현대건설에 대한 불만이 커지고 있다. 이달 초 시공사 교체를 위한 대책회의도 열었다. 그러나 시공사를 바꾸려면 기존 시공사 선정 취소 총회진행, 새 시공사 입찰공고, 입찰절차, 이사회 및 대의원회, 총회소집 등 과정에 긴 시간이 소요되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시공사 교체 가능성은 적을 것이라는 전망도 잇따른다.

1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조합원 사이에서 시공주간사 현대건설, 참여사 HDC현대산업개발에 대한 평가가 악화된 것은 시공사 측의 사업장 현안 대응에 대한 무성의에서 비롯됐다. 조합이 전국철거민연합회(전철연)와의 갈등에 이주 및 착공이 반년 이상 지연됐는데도 시공사가 별다른 움직임을 취하지 않은데 대한 서운함에서 비롯된 것이다. 조합은 전철연이 단지 내에 드나들지 못하도록 펜스를 치는 등 공사 초기 작업을 진행할 것을 요구했으나 시공주간인 현대건설, 참여사 HDC현대산업개발은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일부 조합원의 서운함을 토로하자 각각 조합원 사이에서 다양한 불만이 제기되며 시공사 교체건을 논의할 정도로 공감대가 형성됐다. 특히 주간사인 현대건설은 지난 2017년 반포주공1단지 수주할 당시 해당 단지에 대해서는 가구당 이주비 7000만 원 무상지급 등을 제시했던 것과 달리 이주비 지원도 없는데다가, 추후 추가 분담금 지불 방식도 상대적으로 불리하다는 점에 대한 불만도 제기됐다. 반포1단지는 추후 조합이 추가 분담금 전액을 입주 시 한 번에 납부하는 방식인데 반해 개포1단지는 계약금 20%, 중도금 60%, 잔금 20% 납부하는 형태여서 상대적으로 불리하다는 것이다. 이에 이달 초 조합은 시공사 교체에 대한 대책회의를 열었다.

앞서 과천주공1단지도 개포1단지의 현 시점 즈음인 철거를 시작해 일반분양을 앞둔 때에 이례적으로 시공사를 교체한 바 있다. 당초 시공사로 선정된 포스코건설이 설계 변경을 이유로 공사비를 600억 원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 결정적인 이유였다. 또한 서울 강남구 대치동 구마을3지구도 공사비 증액을 이유로 지난달 대림산업에서 현대건설로 바꿨다.

다만 업계에서는 개포1단지가 과천1단지나 대치동 구마을3지구처럼 시공사를 교체할 가능성은 적다고 보고 있다. 정부는 물론 지자체인 서울시에서도 강남권 재건축‧재개발 정비사업 인허가를 늦추고 있는만큼 최소 6개월 길게는 수년 이상 사업이 지체될 게 예상돼서다. 게다가 앞서 시공사를 교체한 사업장들은 계약의 위반사항이 뚜렷하지만 개포1단지는 시공사 측의 과실이 없다는 차이점도 있다. 개포1단지 한 조합원은 “조합원 모두가 사업 진행이 늦어지는 것은 원치 않는다”라며 “시공사에게 긴장감을 주려는 압박용일 것”이라고 말했다. 개포1단지조합 관계자는 “시공사 교체를 위한 논의가 진행된 적은 있지만 결정된 바 없다”고 말했다.

한편 개포1단지는 지난 2016년 재건축사업시행인가를 받았지만 일부 아파트 세대와 상인들이 퇴거에 불응하면서 양측의 대치가 이어져왔다. 지난 12일 개포1단지 상가 안에 있던 전국철거민연합회 관계자와 세입자 20여 명이 퇴거했다. 현재 5040세대인 이곳은 재건축 후 6600여 세대가 입주하게 된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