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전선 자원해 일본군과 싸우고 광복군 모아···여성들에게 광복군 활동으로 비인간적 삶 벗어나 참된 삶 찾자고 주장

2019년 대한민국은 임시정부 수립과 3.1 운동 100주년을 맞았다. 1910년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우리 민족은 끊임없이 항일독립운동을 했다. 1919년 3월 1일 전국 방방곡곡에서 남녀노소 모두 일어나 만세운동을 했다. 다음 달인 4월 11일 독립운동가들은 중국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당시 대한민국 임시헌장 제1조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한다’다. 이는 우리 민족의 자주 독립과 민주주의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여준다. 시사저널e는 임시정부 수립과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국가보훈처 자료를 바탕으로 독립운동에 헌신했던 사람들의 삶을 기사화한다. 특히 대중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독립운동가들을 중심으로 조명한다. [편집자 주]

지복영 선생 / 사진=국가보훈처
지복영 선생 / 사진=국가보훈처

지복영 선생은 한국광복군 여군으로 활동했다. 선생은 광복군에서 최전선으로 자원해 가 낮에는 총을 들고 일본군과 싸우고 밤에는 광복군 군사를 모으는 활동을 했다. 선생은 여성들이 광복군 사업에 참여해 과거의 비인간적 삶에서 벗어나 참된 삶을 살자고 주장했다.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1931년 일제의 탄압으로 근우회(槿友會) 해체 이후 여성들은 국내에서 항일 활동을 하기 어려웠다. 이에 많은 여성 활동가들은 해외로 갔다. 여성들은 중국 동북항일유격대, 조선의용군, 한국광복군 등에 적극적으로 참가했다. 한국광복군은 1940년 9월 중국 중경에서 재창설 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군대다. 여성들은 광복군이 만들어진 초기부터 참여했다.

선생은 1920년 4월 11일 서울에서 출생했다. 아버지는 지청천(池靑天) 장군이다. 지청천 장군은 조선 말기 무관학교에 들어가 1913년 일본사관학교 제26기생으로 졸업했다. 1919년 3·1만세운동 이후 만주로 망명했다. 이후 지청천 장군은 신흥무관학교에서 독립군 간부를 키워냈다. 1930년 한국독립군 총사령관, 1940년 광복군 총사령부 사령관으로 독립을 위해 활동 했다.

◇중국에서 선전 활동으로 항일의식 키우다

지복영 선생은 1938년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에 참여했다. 선전 활동으로 항일 운동을 했다.

1937년 중일전쟁 발발 이후 임시정부는 피난살이로 항일 활동을 제대로 하기 어려웠다. 그러자 청년들이 나섰다. 청년들은 1938년 11월 광서성 유주에서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를 만들었다. 공작대원 34명 가운데 여성 대원은 지복영 선생을 포함 11명이었다.

청년공작대는 한국과 중국인들의 항일 의식을 높이기 위해 선전 활동을 했다. 중국인들에게 한국인의 항일정신과 기개를 선전했다. 한국인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바꾸기 위해 노력했다. 거리 선전, 연예와 항일 연극, 대규모 공연, 합창 등을 통해 선전 활동을 했다.

◇여군으로 한국광복군 입대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40년 9월 17일 중경에서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성립 전례식을 했다. 이때 지복영, 오광심, 김정숙, 조순옥, 민영주, 신순호 등이 여성 광복군으로 참여했다. 이들은 사령부의 선전 활동과 비서 사무를 했다.

여성들이 여성 광복군으로 참여할 수 있었던 것은 임시정부의 여성에 대한 인식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상해 임시정부는 1919년 4월 11일 임시헌장 3조에서 “대한민국의 인민은 남녀귀천 및 빈부의 계급이 무하고 일체 평등함”을 밝혔다. 5조에서는 “대한민국의 인민으로 공민 자격이 유한 자는 선거권 및 피선거권이 유함”이라고 밝혔다.

이는 여성들의 노력으로 얻어진 것이었다. 일제강점기 여성운동의 지도자였던 조신성(趙信聖)은 조맹선을 단장으로 하는 대한독립청년단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평남 맹산군 선유봉 호랑이굴을 중심으로 항일 무장 활동을 주도했다. 조신성은 남성 단원들을 이끌고 육혈포, 탄환, 다이너마이트 등을 품고 생식을 하면서 항일 무장 활동을 했다.

안경신(安敬信)은 1920년 8월 미국 의원단이 내한하자 국제 여론 환기와 독립 의욕 고취를 위해 평남 경찰국 청사에 폭탄을 투척했다.

이에 1940년 창설된 한국광복군은 여성들도 한국광복군에 참여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총사령부 사령관이었던 지청천은 “한국광복군은 한국 임시정부에 직할된 한국의 국군이다. 한국 임시정부 본신이 이천만 대중의 공유한 혁명 기관인 만큼 광복군도 당연히 이천만 대중의 공유한 군사 기구가 되는 것이다. 남녀는 누구를 물론하고 그의 역사적 사명을 완성하기 위해 광복군에 참가할 권리와 의무를 똑같이 소유한 것이다”고 밝혔다.

지복영 선생은 1996년 8월 15일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광복군 입대 동기에 대해 밝혔다.

“임시정부 헌법이 빈부와 신분의 귀천을 구별하지 않고 특히 남녀평등을 강조한 데 자극받아 미력이나마 일조를 하고 싶어서였지요. 당시 여군에 대한 대접도 좋아 월급도 중국 돈 5원으로 남자들과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여성이 조국 광복과 신 국가 건설에 한 역군”

한국광복군 서안총사령부는 참모조, 부관조, 경제조, 선전조, 편집조 등으로 구성됐다. 선전조는 지복영, 오광심, 조순옥 등이 맡았다. 광복군 사령부가 서안으로 이동한 후 가장 급한 일이 선전활동이었다. 한국광복군은 적 후방에 있는 교포들을 모집하고, 독립운동을 알리기 위한 선전 활동으로서 잡지 ‘광복’을 발간했다. 지복영 선생과 선전조는 ‘광복’ 간행을 위해 원고 작성과 번역 등을 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1941년 2월 1일 자로 ‘광복’ 창간호가 나왔다.

창간호에서 오광심은 ‘한국 여성들에게 일언을 들림’이라는 아래와 같은 글을 통해 조국 광복을 위해 여자도 남자와 평등하게 참여하고 투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광복군은 남자의 전유물이 아니오. 우리 여성의 광복군도 되며 우리 여성들이 참가하지 아니하면, 마치 사람으로 말하면 절름발이가 되고 수레로 말하면 외바퀴 수레가 되어 필경은 전진하지 못하고 쓰러지게 됩니다. 우리는 우리 혁명을 위하야 또는 광복군의 전도를 위하야 우리 여성 자신의 권리와 임무를 위하야 이 위대한 광복군 사업에 용감히 참가합시다. 그리고 총과 폭탄을 들고 전선에 뛰어 나아가서 우리 여성의 피가 압록, 두만강 연안에 흘리며 이 선혈 위에 민족의 자유화가 피고 여성의 평등 열매를 맺게 합시다.”

지복영 선생은 ‘광복’에 ‘대시대는 왔다. 한국 여성 동지들아 활약하자’는 다음과 같은 글을 실었다.

“한국 이천 삼백만 민족의 반수를 차지한 여성 동포들이 조국을 광복하고 신 국가를 건설하는 데 한 역군이라는 것을 범 한국 사람은 다 깊이 깨달아야 할 것이다. 이중 삼중의 압박에 눌리어 신음하던 자매들! 어서 빨리 일어나서 이 민족해방 운동의 뜨거운 용로 속으로 뛰어오라. 과거의 비인간적 생활은 여기서 불살라 버리고 앞날의 참된 삶을 맞이하자. 오라! 와서 힘을 뭉치여 적을 부시고 새집을 세우고 새로운 삶을 찾자!”

광복군 성립 초기에 참여한 여성들은 오광심, 김정숙, 지복영, 조순옥 등 6명이었다. 보훈처에 따르면 이후에 여성 대원들이 많이 늘었다. 전쟁 말기 여성 대원들은 각 지대별로 30여 명씩 있었다. 1967년 8월 12일 대한일보가 개최한 좌담회에서 여성 대원이었던 김효숙이 “광복군의 정확한 숫자는 비밀로 되어 있었으니까 잘 모르겠는데, 여자 대원은 각 지대에 30여 명씩 있었던 것”이라고 증언했다.

◇낮에는 총 들고 일본군과 싸우고 밤에는 광복군 모아

서안으로 이동 중인 지복영, 조순옥, 오광심 선생. / 사진=국가보훈처
서안으로 이동 중인 지복영, 조순옥, 오광심 선생. / 사진=국가보훈처

서안총사령부 설치 후 광복군은 각 지대에 지대장과 8명의 간부 대원들이 소속돼 있었다. 김학규의 제3지대에는 대원 6명 중 절반이 여성 대원이었다. 지복영 선생은 오광심, 오희영과 함께 제3지대에 속했다.

지복영 선생은 최전선으로 가기로 결심했다. 아버지인 지청천 장군에게 허락을 받지 않고 자원했다. 여러 사람들이 말렸다. 이에 지복영 선생은 자신의 뜻을 편지를 써서 아버지에게 보냈다. 보훈처에 따르면 지청천 장군은 “좋다. 잘 생각했다. 내가 남의 자식도 보내는데 내 자식이라고 금지해서 못 보내겠느냐. 잘 생각했다”고 답장했다. 아버지의 답장을 받고 지복영 선생은 부양으로 떠났다.

산동을 향해 진군하던 김학규의 제3지대는 안휘성 부양에 제3지대 본부를 설치했다. 본부는 1945년 광복이 되기까지 4년간 이곳에서 지하공작을 했다.

선생은 오광심, 오희영과 함께 남자 광복군 대원들과 똑같은 임무를 받고 군사를 모으는 활동을 했다. 지복영 선생은 낮에는 총을 들고 일본군과 싸우고, 밤에는 광복군을 모았다.

선생은 부양에 온 지 1년 1개월 만에 병이 났다. 더 이상 활동할 수 없게 돼 중경으로 돌아갔다. 1943년부터 임시정부 외무부로 차출돼 중국 방송을 이용해 한국인 학병들의 탈출을 권유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선생의 공훈을 기려 건국훈장 애국장을 수여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