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김포서 블록체인 기반 지역화폐 ‘착한페이’ 운영

이동면 KT 미래플랫폼사업부문장(사장)이 16일 광화문 KT스퀘어에서 진행된 KT 블록체인 사업전략 기자간담회에서 5G 네트워크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사업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 사진=KT
이동면 KT 미래플랫폼사업부문장(사장)이 16일 광화문 KT스퀘어에서 진행된 KT 블록체인 사업전략 기자간담회에서 5G 네트워크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사업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 사진=KT

KT가 네트워크 블록체인 브랜드 ‘기가 체인(GiGA Chain)’을 공개하고 5세대(5G) 이동통신과 블록체인 서비스를 접목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KT는 16일 광화문 KT스퀘어에서 블록체인 사업전략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기가 체인을 선보였다. KT는 블록체인 핵심 전략사업으로 ▲블록체인 사물인터넷(IoT) 보안 솔루션 기가스텔스, ▲클라우드 기반 블록체인 개발 플랫폼 기가 체인 바스(GiGA Chain Baas), ▲블록체인 지역화폐 플랫폼 착한페이를 소개했다.

이동면 KT 미래플랫폼사업부문장(사장)은 “5G 인프라와 블록체인을 합쳐서 서로 시너지가 나도록 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이 작업을 기가 체인이라고 한다”며 “앞으로 이 기술의 응용 분야는 무궁무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선 KT는 커넥티드카, 스마트팩토리 등 5G 시대에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IoT 보안 이슈를 기가스텔스로 해결할 방침이다. 기가스텔스는 신원이 검증된 송신자에게만 IoT 단말의 IP 주소가 보이는 보이지 않는 IP 기술이다.

검증되지 않은 익명의 송신자에게는 IoT 단말이 마치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네트워크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IoT 단말의 해킹 사례 중 99%가 인터넷을 통한 익명의 접속을 통해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기가스텔스 기술 적용만으로도 IoT 보안 취약점의 상당부분을 해결 할 수 있다고 KT는 보고 있다.

기가 체인 바스는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 환경과 통합 운영, 관제 기능을 클라우드 형태로 제공하는 엔터프라이즈형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블록체인 전문 개발인력이 없어도 몇 번의 클릭만으로 블록체인 노드를 구성하고, 블록체인 핵심기술인 스마트 콘트랙트를 구현할 수 있다. 별도 서버 구축이 필요 없어 서비스 개발을 위한 비용,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스마트 콘트랙트는 계약 조건을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조건이 충족됐을 경우 자동으로 계약이 실행되게 하는 프로그램이다. 노드는 각각의 서버를 말하며 블록 생성, 원장 검증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KT는 블록체인 기반의 지역화폐 플랫폼 ‘착한페이’를 공개하고 올해 2조원 규모로 추산되는 지역화폐의 안전하고 건전한 유통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착한 페이는 지류형 지역화폐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블록체인을 활용한 것으로, 모바일 앱 기반의 상품권 발행 및 QR 결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반 지역화폐 플랫폼이다.

블록체인 분산 원장 기술 및 스마트 콘트랙트를 적용해 사용 지역, 업체, 기간 등의 조건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사용 이력 추적도 가능해 불법적인 현금화 문제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지류 발행 대비 30%의 운영비용 감소 효과로 재정 운영 효율성도 확보했다.

실제로 KT는 이번 달부터 김포시에서 유통되는 110억원 규모의 김포페이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김포페이는 착한페이 앱을 통해 구동되며, 착한페이 버튼을 누르고, QR을 읽은 후 금액을 선택하는 3단계의 간단한 결제 프로세스를 적용했다. 가맹점주는 착한페이 앱을 통해 결제된 지역화폐를 즉시 원하는 계좌로 환전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