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억원 생산에 필요한 취업자수 16명대로 최저 기록 경신
경제성장률·취업증가율 간 격차 더 벌어져 ‘1.90%→2.34%’

7일 한국은행과 통계청,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실질 국내총생산(GDP) 10억원을 생산할 때 필요한 취업자 수인 취업계수는 지난해 16.79명에 그쳤다. 이는 사상 최소이던 17.18명 기록을 1년 만에 경신한 것이다. /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취업자 수가 사상 최저를 기록했다. 아울러 취업자 수 증가율은 경제 성장률보다 더 빠르게 둔화됐다.

7일 한국은행과 통계청,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실질 국내총생산(GDP) 10억원을 생산할 때 필요한 취업자 수인 취업계수는 지난해 16.79명에 그쳤다. 이는 사상 최소이던 2017년(17.18명)보다 줄어든 수치로 1년 만에 최저 기록을 경신한 것이다.

그동안 1990년 43.1명이었던 취업계수는 2009년 19.9명을 기록한 이후 20명대를 회복하지 못했다. 2010∼2014년 18명대에서 2015∼2017년 17명대로 감소했으며 지난해에는 16명대로 줄어들었다.

취업계수 하락 폭도 8년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하락 폭은 0.39명으로 2010년(0.95명) 이후 가장 높았다. 2010년에는 성장률은 6.5%였으나 금융위기에 따른 고용 한파가 이어지면서 취업자 수는 34만5000명 증가에 머물렀다.

또 취업자 수 증가율은 경제 성장률보다 더 빠르게 둔화됐다. 2017년에는 성장률 3.1%, 취업자 수 증가율 1.20%였으나 지난해 성장률은 2.7%로 주저앉았고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0.36%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에 경제 성장률과 취업자 수 증가율 사이 격차는 1.90%p에서 2.34%p로 확대했다.

고용 창출 효과가 낮은 반도체산업 위주로 경제가 성장하다 보니 격차가 더 벌어졌다는 분석이다. 실제 산업연구원이 한은의 산업연관표를 토대로 산출한 자료에 따르면 반도체 분야 취업계수는 2014년 기준 1.40명으로 디스플레이(0.67명), 플랜트 산업인 석유화학(0.36명)과 함께 낮은 축에 속했다. 반면 서비스업(11.22명) 취업계수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경제가 성장할 때 고용이 얼마나 늘었는지를 보여주는 고용 탄성치도 0.13을 기록해 2009년(-0.52) 이후 9년 만에 가장 악화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