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에게 돈이나 물건 억지로 달라고 한 의병 처벌 등 주민 안위 지키려 노력

이미지=조현경 디자이너
이미지=조현경 디자이너

2019년 대한민국은 임시정부 수립과 3.1 운동 100주년을 맞았다. 1910년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우리 민족은 끊임없이 항일독립운동을 했다. 1919년 3월 1일 전국 방방곡곡에서 남녀노소 모두 일어나 만세운동을 했다. 다음 달인 4월 11일 독립운동가들은 중국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당시 대한민국 임시헌장 제1조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한다’다. 이는 우리 민족의 자주 독립과 민주주의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여준다. 시사저널e는 임시정부 수립과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국가보훈처 자료를 바탕으로 독립운동에 헌신했던 사람들의 삶을 기사화한다. 특히 대중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독립운동가들을 중심으로 조명한다. [편집자 주]

강진원 의병장은 구한말 반일투쟁과 친일세력 제거에 앞장섰다. 강 의병장은 전남 동부지역, 순천·곡성·여수·고흥·광양·구례와 전북 남원 등에서 의병활동에 나섰다. 주로 일본의 침략기구 및 일본 군경을 공격했다. 반일투쟁 외에도 친일세력의 구축에도 앞장섰다. 일본어 통역이나 헌병보조원, 의병을 밀고한 자, 세무관리, 밀정 등을 처단했다. 

강진원 선생은 1881년(고종 18년) 전남 순천시 서면 당천리에서 태어났다.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강 선생의 본명은 강진원, 의병활동 시에는 강승우 등 몇 개의 가명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당시 여러 의병장들이 일제의 추적을 피하기 위해 가명을 사용했다.

강 선생은 지독한 가난과 어려서 아버지를 잃었다. 그러나 자신의 불행한 처지를 비관하지 않고 이웃마을 구만리 월곡서당에서 정삼산(鄭三山)의 문하에서 공부를 열심히 했다. 강 선생은 노모를 봉양하고 병든 동생을 돌보며 외가인 서면 두모리 일대에서 훈장으로 살아갔다. 강 선생은 일제의 침탈이 본격화되자 중대한 결심을 했다. 자신과 가족의 안위보다 국가와 민족의 장래를 위해 의병장이 됐다.

◇ 전라도에서 일제 침략시설과 군경 공격···친일파 척결

1906년 6월 4일 전라도에서 을사조약의 체결에 반대하는 의병이 태인에서 일어났다. 전북 태인의 무성서원에서 의정부 찬정을 지낸 최익현과 전 낙안군수 임병찬 등이 의병을 이끌었다. 태인 의병은 일주일만에 해산됐으나 최익현 등이 창의를 호소하는 글은 전남 지역 의병 봉기를 촉진했다. 백낙구·고광순·기우만·양회일 등이 각각 광양·창평·장성·능주 등지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보훈처에 따르면 강진원 선생은 1906년 최익현의 문인과 시국에 관해 논의했다. 시골 서당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여러 의병 소식을 접했다.

강진원 선생은 1908년 음력 6월 하순 의병을 일으켰다. 순천 출신 우국지사인 김명거(金明巨)·김화삼(金化三)·권덕윤(權德允)·김병학(金柄學), 곡성 출신의 김양화(金良化) 등과 함께 의병을 이끌었다. 의병부대 편제는 의병장 강진원, 선봉대장 김화삼, 수포대장(收砲隊長) 김병학, 행군대장(行軍隊長) 김명거, 모사(謀士) 김양화, 서기 권덕윤 등이었다.

강진원 의병부대는 조계산을 근거지로 삼아 무기를 수리하고 의병 규모를 확대했다. 음력 7월 인근에서 활동하던 조규하 의병장과 만나 연합투쟁을 논의했다. 나주의 의병들이 강 의병장의 의병부대에 합류했다.

이들은 음력 8월 4일 곡성군 석곡면 조지촌 전투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반일투쟁에 나섰다. 당시 강진원 의병부대는 무기의 열세를 극복하기 위해 인근에서 활동 중인 다른 의병부대와 연합해 활동했다. 조규하 의병부대 등과 함께 곡성군 목사동면 평전촌에서 일본군 순사대와 맞서 싸웠다.

강진원 의병부대의 반일투쟁은 1909년 음력 8월까지 이어졌다. 이들은 주로 순천·곡성·여수·고흥·광양·구례와 전북 남원에서 활동했다. 일제의 침략기구와 일본 군경을 공격대상으로 삼았다.

아래는 당시 강진원 의병부대와 일본 군경 사이의 전투상황을 목격한 글이다. '강진원 의병장 약전'에 담긴 내용이다.

'(1909년 음력) 2월 초9일 눌한 옷차림의 왜병들 한떼가 황전면 죽청골에서 상수평을 향해서 몰려오고 강대장이 이끄는 의병대패는 괴목장터 앞산에서 머물고 있더니 조금 후에 왜병들이 괴목장터에 도착하자마자 총소리가 콩 튀듯 요란스럽고 두 패들이 맞붙어 싸움이 시작 … 이 싸움통에 헌병도 많이 죽고 의병들도 많이 죽었는데, 이 난 때 수평리 차달남(車達南, 별명 혹보) 차샌도 왜병들 총에 죽었지. 민간인도 수없이 다치고 그런 난리가 없었지. 그때 그러고 나서 난이 어지간히 끝났냐 하고 있으면 밀치락달치락 헌병 패거리가 한떼가 지나가면 얼마 후에 이마에 수건을 동여맨 의병떼들이 한패 지나가고 무슨 그런 난리가 있었던가 몰라.

난은 그것으로 끝난 것이 아니라 강대장을 가르쳐주라고 원동(元東) 박샌과 우리 시아버지인 강샌(姜仲瑞)을 헌병청에 데려다놓고 주리를 트는데 말도 못했지. …그래도 의병떼들이 한번 지나가면 별 것이 없는데, 헌병떼들이 한 번 지나갔다 하면 동네마다 돼지·닭이 몇 마리씩은 죽어갔지.'

당시 강진원 의병부대는 과역시장전투, 동복 운월치전투, 쌍암 접치전투, 쌍암 서정전투, 남원 가정전투, 곡성 압록과 동리사전투 등 일제 군경과 여러 전투를 치렀다.

강진원 의병부대는 친일세력 제거에도 앞장섰다. 한민족이면서 일제를 돕기 위해 통역한 자, 헌병보조원, 의병 밀고자, 세무관리, 밀정한 자 등을 처단했다. 강 선생은 부상당한 의병들을 치료하고, 체포된 의병을 구하기 위해 헌병대와 주재소를 공격했다.

강 선생은 군율을 어긴 의병들도 엄격히 처벌했다. 주민들에게 돈이나 물건을 억지로 달라고 한 자, 군자금을 몰래 유용한 자, 의진을 이탈한 자, 무기를 빼돌린 자 등을 처형했다. 이에 주민들은 강 선생과 의병들을 믿을 수 있었다.

강진원 의병부대는 1909년 4월 237명까지 늘었다. 그러나 1909년 6월 100명, 7월 70명, 9월 23명, 10월에 20명으로 줄었다. 감소 이유에 대해 보훈처는 “1909년 음력 6월 중순 순천시 서면 색천사정(索川社亭)에서 기습을 당한 사건과 관련이 깊을 것”이라며 “이때 생존한 의병들은 대부분 뿔뿔이 흩어졌으며, 강진원도 순천시 해룡면 신성포에서 배를 타고 바다를 건너 연내도로 피신했다”고 했다.

보훈처는 강진원 의병부대가 1909년 9월 ‘남한폭도대토벌작전’이 시작되기 직전에 큰 타격을 받고 해산된 것으로 보고 있다.

강 선생은 이후 10여 년 간 은신해 있던 중 1921년 음력 7월 16일 일제에 체포됐다. 7월 19일 강 선생은 비밀을 지키기 위해 옥중에서 스스로 혀를 물고 자결했다.

보훈처는 “강 선생은 국가와 민족에 위기가 닥치자 일신과 가족의 안위보다 국가와 민족의 운명을 우선시했다. 주민의 생존권을 보호하기 위한 안민적(安民的) 의병의 전형적 모습을 보였다”며 “이름조차 널리 알려지지 않은 의병장이지만 마지막 순간까지 칼을 빼 일제에 저항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강진원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77년 독립장을 추서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