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부채 소유 임대가구 328만가구, 가구당 평균 1억9000만원
전체 6.8%, 금융자산 처분해도 빚 갚기 힘들어
한은 “부동산 시장과 임대가구의 재무상황 변화 점검해야”

2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금융 부채가 있는 임대가구는 328만 가구로 평균 1억9000만원, 소득의 40% 이상을 원리금 상환에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 그래픽=조현경 디자이너

금융 부채가 있는 임대가구는 가구당 평균 1억9000만원, 소득의 40% 이상을 원리금 상환에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중 6.8%는 소득으로 원리금을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유동성이 취약했다. 이에 임대가구 재무상황의 재검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28일 한국은행의 ‘금융안정상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임대가구는 328만가구로 추산됐다. 임대가구란 임대보증금 부채나 임대소득이 있는 임대부동산(주택·상가·오피스 등)을 보유한 가구를 뜻한다.

임대가구의 금융부채는 372조4000억원으로 가구당 평균 1억9000만원이다. 이는 비임대가구(7000만원)의 3배에 육박하는 금액이다. 아울러 임대가구 대출 종류는 담보대출이 84.7%(비주택은 89.3%)에 달했다. 신용 대출은 10.7%를 차지했다.

임대가구는 연 소득의 절반 가까이를 부채 원금과 이자를 갚는데 쓰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의 조사에 따르면 임대가구의 DSR(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비율)은 지난해 평균 40.8%를 기록했다.

특히 금융부채를 보유한 전체 임대가구의 6.8%(약 13만2000가구)는 유동성에 매우 취약했다. 이들은 금융부채 대비 금융자산비율(106%)이 100%를 넘었다. 금융부채가 금융자산보다 많은 경우로, 100%를 넘으면 보유한 금융자산을 모두 처분하더라도 빚을 전부 갚기 힘들다는 의미다. 또 DSR 역시 100%를 넘어 소득으로 원리금을 못내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대가구는 부채구조도 취약했다. 총 대출에서 만기 1년 이내 단기대출은 26.9%, 일시상환방식 대출은 35.3%로, 비임대가구(단기대출 20.6%, 일시상환대출 26.7%)를 웃돌았다. 상가와 오피스텔 등 비주택 임대가구의 단기대출과 일시상환 대출 비중은 36.1%와 40.6%로 특히 높았다.

한은 관계자는 “향후 부동산 시장과 임대가구의 재무상황 변화 등을 면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며 “금융기관도 대출을 취급할 때 차주의 부채상환능력과 담보가치 평가를 엄격히 하는 등 리스크 관리 강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