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작법인 설립 및 시장 진출 노력 기울여
정부 규제 및 시민단체·의료계 반발은 해결 과제

네이버와 카카오 두 IT 공룡이 헬스케어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 이미지=셔터스톡
네이버와 카카오 두 IT 공룡이 헬스케어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에 본격 나서고 있다. / 이미지=셔터스톡

네이버와 카카오 두 IT 공룡이 헬스케어 시장 선점 경쟁에 나서고 있다. 19일 IT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와 카카오는 각각 국내 대형병원, 제약·바이오기업 등과 합작법인을 세우고 앞으로 열릴 헬스케어 시장에 대비해 물밑 작업이 한창이다.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지난해 말 대웅제약과 의료보건분야 빅데이터 합작벤처 ‘다나아데이터’를 설립했다. 다나아데이터는 의료·보건 분야 빅데이터 수집과 분석, 처리 등을 사업 목적으로 한다. 대표는 대웅제약 김양석 헬스케어인공지능사업부장이 맡았다.

이에 앞서 네이버는 지난해 2월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웅제약과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개발 협력을 내용으로 하는 업무협약을 맺기도 했다. 올해 초에는 일본에서 자회사  ‘라인’을 통해 소니 자회사와 합작법인 ‘라인헬스케어’를 설립했다. 

네이버는 합작법인 설립 외에도 헬스케어 사업 진출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지난해 11월 케어랩스의 헬스케어 플랫폼 ‘굿닥’과 협력해 병원 예약 서비스를 선보였으며 네이버 자회사인 네이버 비즈니스 플랫폼(NBP)은 지난해 9월 의료정보보호시스템 인증인 ISO27799를 획득하기도 했다. 아울러 네이버는 지난해 9월 기술 스타트업 지원 프로젝트 ‘D2 스타트업 팩토리(D2 Startup Factory·D2SF)’를 통해 헬스케어 분야 스타트업 세 곳에 투자를 진행했다. 

경쟁사인 카카오 역시 헬스케어 사업에 뛰어들었다. 카카오는 지난해 8월 서울아산병원과 손잡고 국내 최초의 의료 데이터 전문회사인 아산카카오메디컬데이터를 설립하는 계약를 맺은바 있다. 이후 서울아산병원의 모기업인 현대중공업지주와 카카오는 각각 50억원을 출자해 지난 1월 법인 설립을 마쳤다. 

카카오는 또 지난 4일 연세의료원의 헬스케어 업체 파이디지털헬스케어에 투자를 진행하기도 했다. 연세의료원은 파이디지털헬스케어에 650만 질환자의 의료 데이터·의료 정보 시스템 관리 기법을 제공하고 카카오는 데이터 구조화 기술 ·플랫폼 등 기술지원을 맡을 예정이다. 

파이디지털헬스케어는 연세의료원과 KT가 2012년 합작 설립한 의료·정보통신기술(ICT) 융합사업 전문회사다. 고객 체질에 맞춘 건강관리와 만성질환자 대상 24시간 의료서비스 등 ICT를 활용한 헬스케업 사업을 펼쳐왔다.

카카오 계열사인 카카오VX는 헬스케어 시장을 겨냥한 ‘홈트’를 준비하고 있다. 홈트는 가정 내 운동과 다이어트를 돕는 인공지능기반의 서비스 플랫폼이다. 이 플랫폼은 앞으로 진화될 다양한 인공지능 스피커와의 연결을 목표로 잡고 있다. 홈트는 운동이라는 매개를 기반으로 향후에는 다이어트 콘텐츠 서비스 확장과 게임도 연동할 계획이다.  

네이버와 카카오가 헬스케어 시장에 뛰어든 이유는 무엇일까. 의료 정보를 활용한 빅데이터가 향후 돈이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컨설팅기업 KPMG는 “최근 헬스케어산업의 패러다임이 치료·병원 중심에서 예방·소비자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헬스케어산업 안에서 빅데이터 분석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KPMG는 세계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시장 규모가 2015년 790억 달러(약 84조 원)에서 2020년 2060억 달러(약 231조 원) 규모로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평균 21.1% 성장하는 셈이다. 

다만 헬스케어 산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선 몇가지 걸림돌이 존재한다. 우선 정부의 규제 완화가 절실하다. 아산나눔재단이 발표한 ‘디지털 헬스케어’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원격의료 금지, DTC 유전자검사 항목 제한, 데이터 관련 규제 등으로 인해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에서 도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의 경우 90%를 상회하는 병원급 의료기관들의 높은 전자의료기록(EMR) 보급률과 세계 1위 수준의 높은 스마트폰 보급률 등 우수한 디지털 인프라에도 불구, 데이터 관련 규제들이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아 데이터 수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대표적으로 ‘사전동의 규제’ 등이 빅데이터 활용에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산나눔재단 관계자는 “규제로 인해 혁신의 타이밍을 놓친다면 해외에서 경쟁력을 키워 온 글로벌 기업이 국내 시장을 장악할 가능성이 높다”며 “기존 산업 프레임에 맞춰진 규제가 기술과 소비자들의 변화에 발맞추지 못한다면 글로벌 혁신 경쟁에서 도태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또 다른 과제는 의료계와 시민단체의 반발이다. 참여연대,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등 70여개 시민사회단체는 지난해 10월 공동명의 기자회견을 열고 개인 의료정보 상업적 활용의 위험성을 지적한 바 있다. 이들은 지난해 8월 문재인 대통령이 정부 규제혁신 방안에서 “당사자를 특정할 수 없도록 처리된 가명정보의 경우 기업이 당사자 동의 없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발표한 점을 문제 삼았다. 개인의료정보가 다른 정보와 결합되면 금세 특정인의 개인정보 유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의료계 역시 원격진료에 대해 반발하고 있다. 정부는 시범사업 지역인 도서 벽지, 군부대, 원양선박, 교정시설 등 의료취약지에 한해 제한적으로 의사·환자 간 원격의료를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대한병원의사협의회는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고집하고 있다. 

IT업계 관계자는 “최근 네이버와 카카오가 본격적으로 헬스케어 시장 진입에 나서고 있는 모양새”라며 “다만 본격적인 사업 추진까지는 걸림돌이 많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의료계와 시민단체의 반발을 어떻게 무마시킬지가 관건”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