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18년 4분기 소득부문 가계동향조사 결과···1분위 소득 전년비 18%↓·5분위 10%↑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소득분배 관련 긴급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소득분배 관련 긴급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4분기 소득 양극화가 2003년 관련 통계 작성 후 가장 나빠졌다. 하위 20%인 1분위 가계의 월평균 명목소득은 123만원, 상위 20%인 5분위는 932만원이었다.

1분위 가계의 명목소득은 1년 전보다 약 18% 줄었다. 반면 5분위는 약 10% 늘었다.

통계청은 21일 2018년 4분기 소득부문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1분위 가계의 명목소득(2인 이상 가구)은 월평균 123만8000원이었다. 1년 전 4분기보다 17.7% 줄었다.

1분위 가계의 명목소득 감소율은 4분기 기준으로 2003년 통계집계 후 가장 컸다. 근로소득이 지난해보다 36.8% 줄었다. 사업소득도 8.6% 감소했다.

소득 하위 20∼40%인 2분위 가계의 명목소득은 277만3000원으로 1년 전 보다 4.8% 줄었다.

4분기 기준 통계집계 후 감소율이 가장 컸다. 근로소득이 전년보다 0.4% 늘었지만 사업소득이 18.7% 줄었다.

3분위 (소득 상위 40∼60%) 가계의 소득은 410만9800원으로 전년보다 1.8% 늘었다. 근로소득이 4.8% 증가했으나 사업소득이 7% 감소했다.

반면 5분위(상위 20%) 가계의 명목소득은 월평균 932만4000원으로 10.4% 늘었다. 통계집계 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근로소득 14.2%, 사업소득 1.2% 각각 증가했다.

4분위(소득 상위 20∼40%) 가계의 명목소득은 같은 기간 4.8% 늘었다. 2012년 4분기(5.1%) 이후 최대 증가율이다.

이에 소득 양극화는 4분기 기준 소득분배지표 집계가 시작된 2003년 이후 가장 나빴다. 지난해 4분기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전국 2인 이상 가구)은 5.47배로 1년 전 4.61배보다 올랐다.

5분위 배율은 5분위 계층의 평균소득을 1분위의 평균소득으로 나눈 값이다. 그 수치가 클수록 소득분배가 불균등한 상태다. 처분가능소득은 소득에서 세금이나 사회보장부담금 등 비소비지출을 뺀 부분이다.

전체 가계의 소득은 늘었다. 지난해 4분기 전체 가구의 명목소득(2인 이상)은 월평균 460만6000원으로 1년 전 보다 3.6% 늘었다. 2012년(5.4%)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4분기 실질소득도 전년보다 1.8% 늘었다. 2017년 4분기 이후 5분기 연속 증가세다. 실질소득 증가율은 2015년 4분기 이후 8분기 연속 마이너스 상태에서 2017년 4분기 증가세로 전환했다.

지난해 4분기 명목소득 가운데 가장 비중이 큰 근로소득은 월 311만4700원으로 1년 전보다 6.2% 늘었다. 4분기 기준 2012년 7.3% 이후 최대폭이다.

반면 사업소득은 91만1300원으로 3.4% 줄었다. 13분기만에 감소세로 전환했다.

역대 가장 악화된 소득 양극화 지표가 나오자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긴급 관계장관회의를 열었다.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노형욱 국무조정실장, 권덕철 보건복지부 차관, 강신욱 통계청장, 윤종원 청와대 경제수석 등이 참석했다.

정부는 소득분배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 고령가구 증가 등 인구구조 변화, 일자리 수요 변화 등을 점검해 대응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