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물량 증가 등 수요·공급 불일치···미반환 우려도 커져

18일 부동산정보 서비스업체 직방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전세보증금이 2년 전보다 하락한 아파트는 38.6%를 차지했다. 이는 2017년(18.9%)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수준이다. / 자료=직방
18일 부동산정보 서비스업체 직방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전세보증금이 2년 전보다 하락한 아파트는 38.6%를 차지했다. 이는 2017년(18.9%)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수준이다. / 자료=직방

전국에서 지난해 전세보증금이 하락한 아파트가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공급물량 증가 등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가 전세보증금 하락의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전세보증금의 미반환 우려도 커지고 있다.

18일 부동산정보 서비스업체 직방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전세보증금이 2년 전보다 하락한 아파트는 38.6%를 차지했다. 이는 2017년(18.9%)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수준이다.

특히 지방은 전세보증금이 하락한 아파트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서울은 13.2%, 수도권은 29.7%였으며 지방은 51.3%로 절반 이상이 2년전 전세가격보다 낮은 가격에 거래가 이뤄졌다.

2016년까지만 해도 2년 전 대비 전세보증금이 하락한 아파트 비중은 전국 10% 미만, 수도권 5% 미만, 지방 20% 미만이었다. 하지만 2017년부터 그 비중이 확대되기 시작했다.

분기별 변화를 살펴보면 지방은 2017년 1분기부터 증가폭이 커지는 전환기가 나타났다. 수도권은 지방보다 늦은 2017년 3분기부터 전세보증금이 하락한 아파트의 비중이 늘기 시작했다. 2016년까지는 그 비중이 보합 내지 1% 미만의 증감폭을 보였으나 2017년부터 수도권과 지방 모두 분기당 평균 4%p 이상 증가폭을 기록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2016년부터 전세가격 급등 현상은 줄어들었으나 2017년부터는 본격적인 전세시장의 안정기가 이어지고 있다”며 “이는 아파트 공급물량 증가와 기존 전세세입자가 분양시장으로 유입되면서 재계약에 나서지 않는 등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가 원인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방은 지역의 기간산업이 침체를 보이면서 기존 수요 이탈의 원인으로 작용했다. 임대인 입장에서는 전세보증금 하락에 따른 수익성 저하와 보증금 반환 부담이 커지는 상황이지만 임차인 입장에서는 낮아지는 전세보증금으로 주거비 부담 경과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상반된 상황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전세보증금의 하락함에 따라 전세보증금의 미반환 우려도 커지고 있다. 함 랩장은 “현재의 추세가 전세가격 하락 사례가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는 만큼 임차인 보호 차원에서 시장 모니터링과 보증금 미반환 위험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