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3차례 현장조사 실시···포스코 “수사 적극 협조할 것”

포스코에 따르면 지난 2일 오후 포항제철소 내 부두 하역기 점검작업을 하던 A씨가 쓰러져 있는 것을 동료가 발견했다. 이후 A씨는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숨졌다./사진=연합뉴스
포스코에 따르면 지난 2일 오후 포항제철소 내 부두 하역기 점검작업을 하던 A씨가 쓰러져 있는 것을 동료가 발견했다. 이후 A씨는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숨졌다./사진=연합뉴스

 

이달 초 포항제철소에서 기기를 점검하다 직원이 사망한 사건과 관련, 포스코의 산재 은폐 의혹이 제기되는 가운데 고용노동부가 사고사에 무게를 두고 조사할 것이란 입장을 밝혀 주목된다.

고용노동부 포항지청 관계자는 8일 “우리 측에서 처음에 산업재해가 아니라는 등의 표현을 한 적은 없다”며 “부검결과에 따라서 산재 개연성이 있다고 보고 있으며 사고사라 생각을 하고 조사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포스코에 따르면 지난 2일 오후 포항제철소 내 부두 하역기 점검작업을 하던 A씨가 쓰러져 있는 것을 동료가 발견했다. 이후 A씨는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숨졌다.

사고 직후 포스코는 “고용부 조사를 통해 산업재해 흔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히고 사고 경위서에서도 특별한 외상없이 쓰러진 점을 들어 심장마비가 사망 원인이라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부검 결과 A씨의 사망 원인이 심장마비가 아닌 ‘장기파열 등에 의한 과다출혈’로 확인됐다. A씨가 작업 중 부두하역기의 롤러 부분에 몸이 끼여 사망했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포스코가 산재 은폐를 시도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불거졌다.

부검 결과가 나오자 고용부가 산재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조사에 나서면서 향후 귀추가 주목된다. 만일 사고사로 결론 날 경우 사고 경위 및 포스코의 초기 대응 등이 도마 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망사고 이전에도 포스코는 산재사고가 잦아 양대 노총으로부터 안전사고에 취약한 기업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실제로 지난해에도 포스코에는 산재사고가 끊이지 않았다. 지난해 1월 포항제철소에서 협력업체 노동자 4명이 질소가스에 질식해 숨졌으며, 6월에는 광양제철소에서 비정규직 노동자가 2제강공장 철강 반제품 라인 작업 도중 3톤짜리 장비에 끼어 사망했다. 지난해 12월에는 한 달 사이 산재 사고가 5건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10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5년과 2017년 사이 포스코건설이 시공한 현장에서 사망한 노동자는 13명이며 재해는 133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포스코 관계자는 “조사를 통해 정확한 사망원인이 나오길 기다리고 있으며 향후 수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사망 사고의 정확한 원인은 1주에서 2주 조사를 거친 뒤 정식결과가 나올 전망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