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은수 종기원 센터장 “온디바이스 방식 개발”

심은수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AI&SW연구센터장(전무)이 23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막한 '세미콘코리아 2019'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 사진 = 송주영 기자
심은수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AI&SW연구센터장(전무)이 23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막한 '세미콘코리아 2019'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 사진 = 송주영 기자

 

“삼성전자는 클라우드 방식을 넘어 스마트폰이나 자율주행차와 같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기기에서 인공지능이 실행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개발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온디바이스(On-Device)’ 방식 인공지능 전략을 강화한다. 갤럭시S10에는 신경망(NPU) 기능이 들어간 프로세서가 탑재되고 온디바이스 인공지능 방식을 활용한 자율주행차도 시범 운행했다. 아마존이나 구글과 같은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업체와는 차별화된 기기 제조사의 강점을 이용해 인공지능 시대를 대비하고 있다.

심은수 종합기술원 AI&SW 연구센터장은 23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세미콘코리아 2019’ 기조연설을 통해 “삼성전자는 신경망(NPU) 기능의 반도체를 조만간 출시할 갤럭시S10에 탑재할 것”이라며 “이는 ‘제로스킵(zero skip)을 사용하는 최초의 NPU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온디바이스 인공지능이란 스마트폰 등의 기기가 연산을 기기 내에서 처리하는 방식이다. 현재는 클라우드 방식의 인공지능이 대세다. 클라우드 방식은 서버에서 연산처리를 하기 때문에 대용량 정보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다만 이 방식은 데이터가 서버와 기기를 왔다갔다 하기 때문에 서버가 해킹 당했을 때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심 센터장은 “사람이 식당정보를 추천할 때는 그 사람의 표정까지 고려해 추천한다”며 “듣고 보는 모든 정보를 컴퓨터에 줘야 한다. 이메일, 웹페이지, 집안의 정보까지 컴포터에 보내야 하는데 이렇게 생각하면 사생활 문제 때문에 주저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또 네트워크에 의존하기 때문에 지연시간이 발생하며 음영지역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온 디바이스 방식도 단점이 있다. 데이터 저장공간이 서버에 비해 작고 전력소모에도 한계가 있다.

심 센터장은 “인공지능 기능이 클라우드에서 도는 것과 같은 품질로 휴대폰에 넣는 작업을 하고 있고 데모가 돌아가는 상황”이라며 “같은 기능을 핸드폰에 탑재하려면 모델 크기를 1/10 이하로 줄여야 한다. 아니면 D램 성능을 (인공지능 기능의) 변역기가 다 잡아먹는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세미콘코리아 2019 행사 기조연설을 통해 전력소모량을 줄이고 성능을 높이기 위해 사용한 기술도 일부 공개했다.

대표적인 기술이 제로스킵이다. 0과 가까운 일정 기준치 이하 숫자는 0으로 바꾸고 결과값이 0이 되는 연산은 건너뛰도록 했다. 연산의 정확도를 낮추는 대신 전력소모량을 줄이고 성능을 높였다.

심 센터장은 “온디바이스 AI는 전력소모량을 최소화해야 한다”며 “비트 정확성을 줄이면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작은 숫자는 0으로 만들어도 정확성이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성능과 전력소모량에 미치는 영향이 큰 D램의 사용을 줄이도록 하는 방식도 개발했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자율주행 분야도 온디바이스 방식으로 개발하고 있다. 삼성이 개발한 자율주행을 탑재한 자동차는 지난 2017년 고속도로와 도심을 시험 운행하기도 했다. 경부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수원 삼성전자 본사 앞을 사람의 도움 없이 스스로 운행하며 비가 오는 날과 어두운 밤에도 차량과 사람을 구별해냈다.

심 센터장은 “재작년 고속도로에서 자율주행차 실험하기도 했다”며 “경부고속도로를 달리고 영동고속도로로 빠져나가면서 곡률이 큰 램프에서도 주행했다. (자동차 안의) 로컬컴퓨터가 계산하고 지도를 받아오는 것 빼고는 100% 처리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