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 민관협치와 건전한 산업육성 당부···“공동생동 제한은 단계적” 주장

원회목 회장이 17일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 사진=한국제약바이오협회
원회목 회장이 17일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 사진=한국제약바이오협회

“오는 2025년에는 글로벌 매출 1조 국산 신약이 탄생할 것으로 판단된다. 2030년에는 10조원 매출 국내 제약사가 출현할 것으로 보인다. 이어 2035년에는 의약품 수출이 100조원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은 17일 오전 서울 방배동 협회에서 신년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같은 포부와 전망을 전했다. 

원희목 회장은 “제약산업은 지속적 R&D(연구개발) 투자와 오픈이노베이션 확산 등을 통해 풍부한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제약협회가 10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선도물질부터 임상 3상까지 진행 중인 합성·바이오신약 파이프라인이 최소 573개다. 오는 2030년까지 개발예정 파이프라인을 더하면 953개다.

원 회장은 “2010년대 중반 이후 다양한 형태의 오픈이노베이션 활성화로 신약 발굴 한계를 극복하고 연구 개발 능력을 극대화했다”며 “제약산업은 특정 자본이나 대기업, 대자본이 아닌 연구소부터 바이오벤처, 병원, 제약사, 글로벌 제약사까지 각계 분야가 집합해 일궈내는 풀뿌리 국민산업”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정부도 지난해 미래형 신산업의 하나로 제약산업 지원을 100대 국정과제로 선정하는 등 육성방침을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제약산업이 지닌 잠재력에 비해 정부 지원방안은 미흡하다는 것이 원 회장 주장이다.

원 회장은 “제약산업의 R&D투자 대비 정부 지원은 8% 대에 불과하다”면서 “미국 37%, 일본 19%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미흡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그동안 정부는 규제산업으로서 사회보험하에서 가격통제 등 사회적 의무를 요구했다”며 “산업 육성 의지 부족으로 인해 한국은 세계 제약시장의 2%가 채 되지 않는다”고 토로했다.

이어 원 회장은 “정부 역할은 민관협치와 건전한 산업육성에 주력해야 하는 것”이라며 베트남의 수출등급제를 예로 들었다. 지난해 베트남 정부는 2등급인 한국을 5등급으로 낮추는 방안을 검토했다. 이에 문재인 대통령이 베트남을 방문해 운을 뗀 다음 류영진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방문해 상황을 정리했다는 것이다.

원 회장은 “보건복지부는 물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제약산업을 지원해줄 것으로 믿고 있다”며 “정부의 산업정책 방향이 국가 미래를 좌우한다”고 역설했다.

업계 현안 중 하나인 공동생동 제한과 관련, 원 회장은 제한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정했다. 단,  급격한 변화가 아닌 단계적 과정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협회는 과거부터 공동생동 문제를 인식, 1+3 제도로 변화를 정부 측에 제안한 바 있다”며 “당시 내부적 혼란도 있었고 중소 제약사 반발도 있었다”고 말했다. 원 회장은 “공동생동을 폐지하는 등 급격한 변화는 업계에 충격파가 될 수 있는 만큼 단계적으로 상황을 정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밖에도 제약협회는 올해 민관협치의 파트너로 산업 혁신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신약 개발의 효율성 제고와 △글로벌 시장 진출의 획기적 성과 촉진 △일자리 창출 역량 극대화 △제약산업에 대한 국민 신뢰 제고를 추진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