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딩뱅크 탈환에 한발짝 더 다가서···화학적 결합 및 노조 반대는 해결 과제

신한금융지주의 오렌지라이프(옛 ING생명) 인수가 9부 능선을 넘었다. / 이미지=조현경 디자이너
신한금융지주의 오렌지라이프(옛 ING생명) 인수가 9부 능선을 넘었다. / 이미지=조현경 디자이너

신한금융지주의 오렌지라이프(옛 ING생명) 인수가 9부 능선을 넘었다. 금융위원회는 16일 정례회의를 열고 이날 안건으로 올라온 신한지주의 오렌지라이프 자회사 편입 승인안을 원안대로 의결했다. 신한금융은 인수 승인 이후 속도감 있게 자회사 편입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KB금융에게 빼앗긴 리딩뱅크 탈환에 한발짝 더 다가서게 됐다. 다만 조직 문화가 다른 신한생명과 오렌지라이프의 화학적 결합은 향후 과제로 남을 전망이다.

앞서 신한지주 이사회는 지난해 9월 라이프투자유한회사가 보유한 오렌지라이프 보통주 4850만주(지분율 59.15%)를 주당 4만7400원, 총 2조2989억원에 인수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이번 금융위의 자회사 편입 승인에 따라 신한금융의 오렌지라이프 인수 작업은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신한금융은 오렌지라이프 자회사 편입 후 신한생명과의 합병을 추진할 방침이다. 

신한금융은 오렌지라이프 인수를 통해 KB금융의 자산 규모를 넘어서게 될 전망이다. 지난해 9월 기준 KB금융과 신한금융의 자산 규모는 각각 477조, 457조다. 여기에 약 32조원에 달하는 오렌지라이프가 더해지면 KB금융을 앞지르게 된다.

신한금융은 또 오렌지라이프 인수를 통해 생명보험업계에서도 단숨에 상위권으로 올라서게 된다. 오렌지라이프 인수로 인한 신한금융의 보험부문 자산은 약 62조원 규모로 이는 삼성생명, 한화생명, 교보생명, NH농협생명에 이은 업계 5위 수준이 된다. NH농협생명(자산규모 64조원)이 차지하고 있는 업계 4위도 충분히 노려볼 수 있는 위치다.

아울러 지난해 오렌지라이프가 거둔 당기순이익은 약 3400억원이다. 이 중 지분인수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순이익은 약 2000억원이다. KB금융과 신한금융의 지난해 3분기 기준 누적 순이익은 각각 2조8688억원, 2조6434억원이다. 사실상 순이익 차이가 크지 않은 상황에서 오렌지라이프 순이익이 더해지게 된다면 신한금융이 1위 자리도 충분히 노려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취급하는 상품군이 다르다는 점에서 신한금융은 향후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신한생명은 종신보험, 정기보험, 암보험 등 보장성보험에 사업이 집중돼 있다. 반면 오렌지라이프는 종신보험과 변액보험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날 조용병 신한금융 회장은 “신한생명과 오렌지라이프를 기반으로 보험업계의 판도를 새롭게 바꿔 업계 3위로 도약해 나가겠다”고 포부를 밝히기도 했다. 

다만 신한생명과 오렌지라이프의 화학적 결합은 향후 과제로 남을 전망이다. 신한생명과 오렌지라이프의 경우 조직 문화가 달라 통합하는 데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신한생명은 설계사 10명 중 8명이 여성인 반면 오렌지라이프는 설계사 대다수가 남성으로 구성돼 있다. 평균연령 역시 오렌지라이프가 상대적으로 젊다. 일각에서는 신한의 보수적이고 수직적인 조직문화에 외국계에서 출발해 비교적 자유로운 기업문화를 형성해 온 오렌지라이프 출신들이 잘 적응할 수 있을지 의문이란 지적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아울러 최근 신한생명 대표로 내정된 정문국 오렌지라이프 대표에 대한 노조의 반대가 만만치 않다는 점도 해결과제다. 이는 구조조정 전문가로 이름을 날린 정문국 대표의 이력 때문이다. 신한생명 직원들은 오렌지라이프와의 통합 과정에서 구조조정 ‘칼바람’이 불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 대표의 경우 앞서 근무했던 알리안츠 생명과 오렌지라이프 재임 당시, 구조조정을 주도하며 노조측과 부딪힌 이력을 가지고 있다.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 신한생명보험지부는 지난 2일 신한금융지주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문국 신한생명 대표 내정자의 철회 촉구를 주장하기도 했다. 노조는 정 대표의 내정 철회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총력투쟁에 돌입하겠다는 방침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오는 2022년 도입될 새 국제회계기준(IFRS17)을 앞두고 보험업계는 비용 절감과 자본확충에 사활을 걸고 있는 상황”이라며 “통합과정에서의 구조조정 역시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