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 사례 제외하면 블록체인 사업 중 실생활에 제대로 자리잡은 제품과 서비스 거의 없어
블록체인 기술 이용코자 하는 스타트업은 제공 서비스와 그 서비스가 무엇을 ‘편리’하게 하는지 고민해야

 

작년 한 해 동안 대부분의 암호화폐 가격은 전년대비 폭락했지만 여전히 많은 블록체인 서비스들이 ICO(가상화폐공개), IEO(거래소공개) 등을 통해 시장에 모습을 드러냈다. 가격하락에 따라 많은 투자자들이 손실을 보았지만 새로운 블록체인 서비스들이 쉬지않고 생겨나는 작금의 상황을 보면 투자자의 사업가들이 블록체인 시장을 보는 관점에 상당한 괴리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스팀잇과 같은 소수의 사례들을 제외하면 블록체인을 내걸고 등장한 사업들 중 시장과 소비자들이 실생활에 제대로 자리잡은 제품과 서비스는 거의 없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대부분의 서비스들이 아직 개발 단계에 있거나 런칭한지 오래지 않아 사업의 성패를 판단하기에는 시기상조일 수 있다. 하지만 서비스의 완성 및 실용화와는 별개로, 암호화폐 거래소의 제도권 편입은 지연되고 있고 때를 틈타 우후죽순처럼 등장한 채굴형 거래소들은 암호화폐 시장을 단기투기의 장으로 전락시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스타트업들이 블록체인 적용을 고려한다. 탈중앙화, 보안강화, 개인의 데이터 주권 확보 등의 블록체인 기술이 가지는 범용적인 특성을 명분으로 내걸고, 거기에 암호화폐를 발행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암호화폐 보상을 주고, 거래를 일으키고, 화폐 수요를 증가시켜 가격 상승을 통해 서비스 이용자와 투자자들에게 경제적 이익을 약속한다. 듣기에 좋은 말이고, 필자 역시 그런 세상을 꿈꾼다. 하지만 진부하고 경쟁력 없는 서비스에 블록체인을 적용해 마치 전혀 새로운 가치를 지닌 사업처럼 포장하는 행태는 비판받아 마땅하다.

블록체인을 적용하고자 하는 대부분의 서비스 모델은 중앙화된 형태로 이미 시장에 존재하고 있다. 블록체인 개발자들의 수준이 빠르게 성장함에 따라 많은 사용자들을 확보한 기성 서비스들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어려운 일이 아니게 됐다. 이더리움, 이오스 등의 플랫폼 코인이 진화하면서 앞으로 기술적 진입장벽은 더욱 낮아지고 사용자 편의성도 개선될 것이다. 결국 미래 블록체인 시장에서 사업간의 경쟁요소는 블록체인 기술이 아니라, 서비스 자체의 가치가 될 것이다. 블록체인의 탈중앙화 특성이 갖는 장점들인 투명성, 사기저항성, 검열저항성, 견고성 등은 블록체인 기술 자체의 특성이지, 서비스가 가진 새로운 가치가 아니다.

‘서비스’는 편리함을 파는 것이다. 즉 편리하지 없다면 좋은 서비스가 아니다.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고자 하는 스타트업이라면, 제공하는 서비스가 무엇인지, 무엇이 ‘편리’해 지는지 충분히 고민해야 할 것이다. 블록체인은 신선함과 편리함을 제공해 주는 마법의 기술이 아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