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수요 분산할 가능성 높아…전문가들 “미흡한 부분에 대해서는 대책 마련 필요"

정부가 수도권 3기 신도시 입지를 발표했다./그래픽=연합뉴스
정부가 수도권 3기 신도시 입지를 발표하자 부동산 업계에선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전문가들은 서울과의 접근성은 괜찮은 편이라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다만 광역교통망과 자족기능을 갖춰야 효과를 볼 수 있다며 정부의 유연한 대응을 주문했다. 

국토교통부가 19일 수도권 주택공급 계획 및 수도권 광역교통망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주택공급지역으로 선정된 곳은 모두 41곳이며 100만㎡ 이상 대규모 택지는 남양주 왕숙(1134만㎡), 하남 교산(649만㎡), 과천(155만㎡), 인천 계양(335만㎡) 등 4곳이다. 100만㎡ 이하는 6곳, 10만㎡ 이하는 31곳이다. 

대규모 택지로 선정된 4곳은 서울 경계로부터 2㎞이내 신규택지로 대부분 훼손되거나 보존가치가 낮은 그린벨트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국토부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등 광역교통망을 중심으로 신규 택지를 개발하겠다고 설명했다. 

남양주 왕숙신도시에는 진접·진건읍, 양정동 일원에 총 6만6000호가 들어설 예정이다. 정부는 현재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중인 GTX-B노선과 진접선 풍양역을 신설해 서울 잠실과의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또 정부는 GTX-B 역을 중심으로 자족용지 약 140만㎡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왕숙천과 연계한 수변복합문화마을, 에너지자족마을, 문화예술마을, 청년문화공간 등을 마련한다는 것이 정부의 방침이다. 

하남 교산에는 하남시 천현동, 교산동, 춘궁동, 상·하사창동 등 일대에 3만2000가구가 건립된다. 정부는 서울~양평고속도로를 신설해 서울 접근 시간을 평균 15분으로 단축할 계획을 밝혔다. 여기에 자족용지 약 92만㎡을 배치해 광주향교 및 남한산성 등의 문화재와 연계한 한옥마을, 백제문화 박물관, 역사문화공원, 탐방로 등을 마련할 방침이다. 

인천 계양 테크노밸리는 귤현동, 동양동, 박촌동, 병방동, 상야동 일대로 1만7000호가 들어선다. 정부는 S-BRT(인천 박촌역~김포공항역)와 주변 역사를 연결해 서울 여의도와의 접근성을 개선할 예정이다. 아울러 국토부는 계양 테크노벨리 가용면적의 49%, 약 90만㎡ 가량을 자족용지로 조성해 복합문화시설, 청소년미디어센터 등 문화소통시설을 집중 배치시킬 계획이다.

과천은 과천시 과천동, 주암동, 막계동 일대가 택지로 지정돼 7000호가 공급될 예정이다. 정부는 도로 개선을 통해 고속터미널까지 이동 시간을 약 15분, 양재까지 약 10분 단축할 예정이며 가용면적의 47%인 36㎡를 자족용지로 조성해 서울대공원, 국립과천과학관 등과 연계한 복합쇼핑테마파크를 개발할 방침이다. 이는 과천 지식정보타운의 1.5배 규모다.

3기 신도시 후보지를 두고 부동산 전문가들은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지적도 나오고 있어 정부의 보완책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이창무 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김포 고촌 등 3기 신도시 유력 후보지로 거론된 지역들과 다르게 이번에 지정된 지역 대부분은 서울 접근성이 우수한 편”이라며 “남양주는 서울에서 거리가 멀다고 하지만 하남과 거리가 비슷하다. 인천 계양은 의외성이 있지만 마곡 산업단지, 검단신도시 등 과의 시너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과천은 어느 정도 인프라가 갖춰져 있어 수요자들에게 인기가 높을 것이다. 다만 사업 규모가 작은 편이라 양재를 포함한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를 좀 더 해제했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이번에 선정된 입지는 서울과의 위치가 가까워 서울에 집중된 주택 수요를 분산 시킬 수 있을 것”이라며 “다만 남양주 왕숙은 과천이나 하남 보다 서울 접근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광역교통망이 빨리 형성돼야 한다. 인천 계양 같은 경우 검단신도시에서도 공급물량이 쏟아지기 때문에 공급과잉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서진형 대한부동산학회 회장(경인여대 교수)은 “3기 신도시 모두 서울의 수요를 분산시킬 수 있는 지역이기 때문에 향후 수도권 집값을 안정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며 “하지만 신도시 개발에 최소 3~4년의 시간이 필요한 만큼 정부는 시장의 상황을 잘 반영해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아울러 3기 신도시가 베드타운'(Bed Town)으로의 전락을 막기 위해서는 정부가 자족기능과 기업이 안착할 수 있는 환경을 꾸준히 조성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