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전 자료 털면 서버교체 밖에 방법 없다” 자조적 반응…하나제약 “혐의 없음으로 결론”

그래픽=김태길 디자이너
최근 동성제약이 리베이트 의혹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압수수색을 받는 사건이 발생함에 따라 제약업계가 패닉 상태에 빠졌다. 최근 수사 방식대로 제약사의 10여년 전 자료를 털기 시작하면 회사 서버를 바꾸는 방법밖에 없다는 자조적 반응까지 나오고 있다.  

 

제약업계에는 이달 17일 식약처 위해사범중앙조사단의 동성제약 압수수색 후유증이 지속되고 있는 모양새다. 

 

하나제약은 지난 18일 공식적으로 보도자료를 내고 5개 제약사에 포함된 사실을 공개했다. 하나제약은 입장문을 통해 “지난 2016년 약사법 위반 혐의에 대해 혐의 없음으로 결론 난 사안이므로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부분은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하나제약 관계자는 “감사원이 식약처 중조단에 통보한 5개 제약사에 포함된 것은 맞다”면서 “18일 주가가 하락하는 등 상황이 심각해 입장문을 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역시 5개 제약사에 포함된 모 제약사 관계자는 “하나제약은 실제 억울한 케이스”라며 “나머지 4개 제약사는 각각 서울지방국세청 조사2국과 4국으로부터 조사를 받았지만 하나는 모 성형외과 병원을 세무조사하다가 돌출됐던 사례”라고 전했다. 

 

5개 제약사에 포함된 A제약사는 사내에 비상을 걸고 직원들 회식을 금지했다. 식약처 동향에 정통한 복수의 소식통은 연말까지 추가 압수수색이 없을 것으로 전망했지만, 마음 놓을 수는 없는 상황이다. 일단 식약처 중조단장이 새롭게 부임한 상황이다. 

 

지난 17일 동성제약에 대한 중조단 압수수색은 밤 11시가 넘어 종료됐다. 앞서 11월 하순 안국약품에 대한 서울서부지방검찰청 식품·의약조사부의 압수수색은 저녁 7시 40분경에야 최종 완료됐다. 

 

식약처 중조단과 서부지검 압수수색에서 최종적으로 남은 요원은 해당 제약사 메인 서버에서 필요한 디지털 자료를 다운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혹시 모를 삭제 가능성을 감안해 디지털포렌식으로 자료를 복구하며 수사에 필요한 자료를 서버에서 내려 받은 후 철수한 것으로 풀이된다. 

 

2개 제약사 압수수색의 공통점은 10여년전 자료까지 모두 가져간 것이다. 안국약품의 경우 통상 5년치가 아닌 10년치 자료를 압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동성제약은 감사원 보고서에 제시된대로 지난 2009년부터 2013년 사이 상품권 자료가 수사 대상이다. 

 

이에 동성제약을 제외한 4개 제약사는 물론 다른 제약사들도 10여년전 자료 압수에 우려감을 표명하고 있다. 과거 자료까지 압수해서 분석하면 버텨낼 제약사가 몇 곳이냐는 지적이다. 

 

B제약사 직원은 “감사원 자료를 보니 지난 2009년과 2011년, 2012년의 세무조사 내용도 본다고 한다”면서 “당시 자료는 남은 것이 적고 특히 영수증 등 증빙자료는 없는 경우가 적지 않을 것”으로 추측했다. 

 

C제약사 관계자는 “감사원은 세무조사를 잘못한 당시 서울국세청 조사2국장과 4국장 징계를 요구하지 왜 제약사만 괴롭히는 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D제약사 임원은 “4개 제약사도 그렇고 다른 제약사들도 10년전 자료에 대해 대처하고 준비할 방법이 없다”며 “다들 회사 메인서버를 교체하는 방법 밖에 없다고 하더라”며 자조적으로 말했다. 

 

이번 사태로 서버를 교체하는 제약사도 없겠지만 현실적으로 서버 교체에는 적지 않은 예산이 투입된다. 용량에 따라 천차만별이지만 대개 서버 교체에는 수억원 규모의 자금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E제약사 임원은 “17일 퇴근해서 보니 지상파 방송에 동성제약 압수수색 보도가 나오고 있었다”며 “딸이 ‘아빠도 리베이트 해?’라고 물어봐 무안했다”고 전했다. 

 

감사원의 무책임한 감사 결과 공개도 도마 위에 올랐다. 감사원은 지난 9월 20일 홈페이지에 ‘서울지방국세청 기관운영감사’ 파일을 올리는데 그치고 보도자료를 내지 않았다. 국세청과 서울국세청 역시 공개적으로 발표한 내용은 없다. 

 

F제약사 관계자는 “당장 감사원 보고서에 나온 2개 제약사는 접대비 증빙자료가 없어 리베이트로 몰릴 판”이라며 “세무조사 지침이 변경되면 서울국세청은 협회에라도 통보해줘야 하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복수의 제약사 관계자는 “지난 18일 증명됐지만 당장 이번 사태 피해는 해당 제약사 주주들이 보고 있다”며 “각 기관이나 정부가 제약사를 바라보는 시각이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