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기여율 55%…“범주 설정이 다른 탓”

/이미지=이다인 디자이너

우리나라 인터넷 정보통신산업・전자상거래 등 디지털경제가 경제성장에 기여하는 정도가 22.32%로 나타났다. 일각에선 중국 디지털경제의 경제성장 기여 정도와 비교해 절반 수준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대 유병준 교수는 가천대 전성민, 한양대 강형구 교수와 공동 진행한 ‘인터넷 기반 서비스 경제 규모 및 파급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를 지난 5일 인터넷기업인의 밤 행사에서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국내 디지털경제의 경제성장 기여율은 22.32%로 나타났다. 규모는 연간 129조~200조원이며 이는 국내총생산(GDP)의 11.86%에 해당한다.

국내에선 첫 디지털경제 규모 연구 발표다. 중국은 이미 디지털경제 규모를 발표해왔다. 지난달 10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 보도에 따르면 2017년 중국의 디지털 경제 규모는 약 4422조원이며 경제성장 기여율은 55%로 나타났다. 국내 디지털경제의 경제성장 기여율보다 두 배가량 높은 수치다.
 

/자료 제공=한국인터넷기업협회

 

전문가들은 중국 보고서의 디지털경제는 우리나라와 비교해 넓은 범주를 대상으로 연구한 것이라는 견해다. 유병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는 “관련 내용을 봤다. 중국은 e비즈니스와 e커머스를 합해서 측정한 것 같다”며 “우리가 발표한 내용은 e커머스만 가져온 것이다. 만일 e비즈니스를 포함한다면 우리도 중국 디지털경제의 경제성장 기여율 수준 혹은 그 이상의 수치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이 e비즈니스를 합쳐서 디지털경제 규모를 측정한 이유를 묻는 질문에 유 교수는 “중국은 정부차원에서 디지털경제를 육성하고 있다. (범주를 크게 잡을 수 있도록) 연구를 지원하고 압박도 병행하는 것 같다. 연구 지원도 중요하다”고 답했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도 디지털경제 연구 지원의 필요성에 공감했다. 한 대표는 “국내 디지털경제 규모가 130조~200원조보다 조금 더 클 것이라고 생각된다. 첫 연구가 진행된만큼 디지털경제가 미치는 영향과 내용에 대해서 협회(한국인터넷기업협회) 차원에서도 만들어 가야겠다”고 말했다.

e비즈니스는 거래 행위는 물론 각종 인터넷을 활용한 마케팅, 파트너사 관리 등을 포함한 모든 행위다. 예를 들어 A 회사가 인터넷을 통해 신제품 정보를 잠재고객에게 보내는 행위 등은  e비즈니스에 속한다. 반면 e커머스는 인터넷에 구축된 가상의 상점을 통해 제품과 서비스를 사고 파는 행위를 말한다.

한편 유병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는 정부의 규제정책이 바뀌면 디지털경제가 더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유 교수는 “중국 정부는 디지털경제 육성을 위해 국가 차원에서 지원이 이어지는 반면 한국은 규제만이 답이라는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마인드를 완전히 바꿀 필요가 있다”며 “인터넷 기업은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데, 이를 대기업 프레임으로 바라보고 제재하는 것은 옳지 않다. 오히려 플랫폼을 이용하는 소상공인이 피해 볼 우려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