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B대구은행장 선임되면 3대 지방금융 회장-행장 겸직 사라져

(왼쪽부터) 김태오 DGB금융 회장, 김지완 BNK금융 회장, 김한 JB금융 회장. / 사진=각 사
지방금융지주가 모두 지주 회장과 행장을 분리하며 제왕적 지배구조를 탈피하고 있다. 지주 회장을 선임한 뒤에도 여전히 행장을 뽑지 못하고 있는 DGB금융지주도 올해 말까지 행장을 선임한다는 계획을 진행 중이다. 지방금융지주사들이 시중은행계 금융지주사처럼 지주 회장에 집중된 불안한 지배구조를 털어내고 안정된 지주 체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DGB금융은 최근 ‘경영 관련 중요규정 개정안’을 원안대로 의결하며 은행장 선임 과제만을 남겨두게 됐다. 현 규정은 지주사가 은행장 추천권을 갖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은행 이사회가 이를 두고 반발하고 나섰지만 지주사가 은행 이사회 의견을 수렴한다는 단서를 내면서 현안 규정을 통과시킬 수 있었다.

DGB금융은 이번 규정 개정이 금융당국이 강조하는 지배구조 개선 요구와도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CEO 육성과 선임 과정의 투명성을 높이고 이사회의 경영 감시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기 때문이다. DGB금융은 박인규 전 대구은행장이 징역 1년6개월 실형을 선고받는 것을 두고 은행 감시와 통제를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대구은행 이사회는 현안이 자칫 지주사 권한을 다시 강화한 지배구조 개선안이 될 수 있다 반발하고 나선 바 있다. 한 대구은행 관계자는 “이미 제왕적 지배구조 아래서 지주 회장과 은행장이 공백이 되는 폐해를 겪었다. 이런 상황에서 지주사가 은행장 선임권을 갖게 된다면 다시 지주사 권한이 커지는 것으로밖에 볼 수 있다”며 “지주사가 은행 이사회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한다는 조건으로 일단 갈등을 줄이고 은행장 선임에 나서기로 한 것”이라고 말했다. DGB금융은 이에 김태오 회장 취임 6개월 만에 대구은행장 선임에 돌입하게 됐다.

지방금융지주 중에서 가장 먼저 회장-은행장 겸직 체제를 푼 곳은 BNK금융지주다. 성세환 전 회장은 지난해 4월 BNK금융 주가 시세조종 혐의로 구속기소된 뒤 지주 회장과 은행장에서 각각 물러났다. 이후 김지완 현 지주 회장이 취임하면서 은행장 겸직 구조를 해체했다. 김 회장은 지주 회장이 은행장을 겸직하는 것을 두고 “금융의 정도경영을 저해하는 원인”이라고 진단했다.

김 회장은 취임 후 공정성과 투명성을 강화해야 한다며 전원 외부 인사로 구성된 백년대계위원회를 출범시켰다. 또 그룹 감찰반과 그룹감사총괄 경영진을 선임하는 등 건전한 영업 관행 정착을 위해 다양한 자구책도 마련했다. 이를 통해 최고경영자 공백으로 흔들렸던 조직을 빠르게 정상화할 수 있었다.

김한 JB금융지주 회장은 2010년 3월 취임한 후 전북은행장을 겸직해왔다. 2014년 광주은행을 인수한 뒤에 임용택 전북은행장을 선임하고 광주은행장을 맡았다. 그 뒤 지난해 9월 송종욱 광주은행장에게 행장 자리를 비워주고 지주 회장만 맡으면서 겸직체제를 끝냈다.

특히 김 회장은 지주 임원추천위원회에서 빠지고 김대곤 사외이사에 이사회 의장까지 넘겼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JB금융이 제왕적 지배구조에서 완전히 탈피했다는 평가를 받는 이유도 회장이 이사회 권한을 내려놨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지주 회장이 계열사 중 가장 큰 이익을 내는 은행장까지 겸직하면 그 권한이 커지고 독립적인 감사 기능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며 “행장과 은행장이 분리돼야 최고경영자 공백 위험도 낮출 수 있고 영업에만 집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