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차, 양자컴퓨터, 바이오기술 등 산업화 유망…딥러닝, 블록체인, 증강현실 등은 한계 뚜렷

 

/그래픽=연합뉴스

 

4차 산업혁명으로 주목받는 신기술에도 명암이 갈린다. 자율주행차, 양자컴퓨터, 바이오기술 등은 단기간 내 산업화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딥러닝, 블록체인, 증강현실 등으로 돈을 벌기엔 아직 기술적 한계가 분명하다는 분석이다. 오는 2019년에는 유망 신기술 사업 쪽에 자금이 쏠리면서 소외 받는 분야의 구조조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5일 ‘2019년 산업경기의 10대 특징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내년 산업경기 특징 중 하나로 4차 산업혁명의 구조조정을 꼽았다. 4차 산업혁명으로 뜨는 다양한 신기술 중에서 당장 산업화가 어려운 분야에 자금줄이 끊길 거란 전망이다.

 

연구원이 꼽은 유력 기술은 바이오기술, 자율주행차, 양자컴퓨터 등이다. 고령화와 의료비 지출 추세를 감안했을 때 바이오기술에 대한 산업화가 빠를 것으로 봤으며, 자율주행차의 경우에는 인공지능 기술 등의 발전으로 상업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내다봤다. 또 급증하는 데이터 정보량에 대처하기 위해 의료, 우주항공,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양자컴퓨터가 활용될 것으로 예측했다.

 

다만 4차산업 혁명의 다른 한 축인 딥러닝, 블록체인, 증강현실, 수소차 등은 당장은 사업성이 없다고 판단했다. 딥러닝의 경우 대중화 단계가 아직 멀었고, 블록체인은 핵심 기술이 부족해 한계에 봉착했다고 분석했다. 또 증강현실은 컨텐츠가 부족하고 수소차는 한국과 일본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이 전기차에 주력하는 상황이라 산업화 가능성이 낮다는 전망이다.

 

연구원은 단기간 내 산업화가 가능한 분야로의 민간 및 공공의 자금과 지원이 집중되고 그렇지 않은 분야는 상대적으로 소외되면서 자연스럽게 4차 산업혁명 관련 분야들 내에서 구조조정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2019년에는 인구 오너스 시대(demographic onus)로 본격 전환하며 기존 산업들 간의 희비가 교차할 것이란 진단도 나왔다. 노동력 공급 부족이 산업 지형 변화를 불러올 거란 관측이다. 인구 오너스란 생산가능 인구(15~64)가 줄면서 경제 성장이 지체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2016년을 정점으로 규모 자체가 감소하기 시작했으며 2020년에는 2016년 대비 36만명, 2025년에는 187만 명, 2030년에는 375만명의 노동력이 사라질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라 생산가능인구 비중은 201673.4%에서 202071.7%, 2030년에는 68.0%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산업별로는 로봇산업, IT(정보기술)서비스산업, 솔로이코노미 관련사업 등이 인력 부족과 1인 가구 증가로 인해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되며, 농림어업, 오프라인 소매업, 노동집약적 제조업 및 건설업 등은 노동력 감소로 인한 피해가 클 것으로 관측된다.

 

이 밖에 연구원은 지속가능 에너지 기술 발전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의 기회와 위험 한류 산업의 비상 등을 내년 산업경기 10대 특징으로 꼽았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