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노조, 사망 사고 재발 방지 대책·노조 인정 촉구…CJ대한통운 “대책 강구…노조 인정 여부는 행정소송 중”

CJ대한통운 택배기사 700여명이 무기한 파업에 들어갔다. 이는 최근 잇따라 발생한 택배노동자 사망 사고에 따른 것이다. 이들은 본사가 택배노조와 교섭에 응할때까지 파업을 이어나가겠다는 방침이지만, CJ대한통운 본사가 이들을 교섭 대상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어 파업 장기화가 예상되고 있다.

21일 전국택배연합노조는 서울 CJ대한통운 본사 앞에서 집회를 열고 본사의 노동조합 인정과 택배노동자 사망사고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날 자리에 모인 CJ대한통운 택배기사는 700여명이다. 이는 1만 5000여명인 CJ대한통운 전체 택배기사 중 5% 수준이다. 이들은 수도권 및 지방 등 각지에서 모였다.​

이날 자리에서 노조는 “노동자들을 부속품으로 여기며 쥐어짜는 CJ대한통운의 반노동자적 행태로 인해, 수많은 택배노동자들이 죽음의 위험에 내몰리고 있다”면서 “지난 두 해에 걸쳐 세 명의 택배노동자가 과로사했고, 올해는 허브물류센터에서만 3달 사이 3명의 노동자가 안타까운 죽음을 맞이했다”면서 작업 현장의 안전화를 요구했다.

지난달 29일 CJ대한통운 대전물류센터에서 하차 작업을 하던 택배 노동자가 후진하던 트레일러에 치여 숨졌고, 지난 8월에도 아르바이트 노동자가 감전사고로 사망했다. 사망사고가 잇따라 발생하자 고용부는 사망사고가 두 번이나 발생한 대전허브터미널의 가동을 중단시킨 상황이다. 아울러 전국 12개 물류터미널에 대한 기획근로감독을 지난 8일부터 오는 29일까지 실시한다.

노조에 따르면, 사망사고가 발생한 이후인 현재에도 택배노동자들은 13시간에 달하느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고 있다. 제대로 된 냉난방시설도 갖추지 못한 서브터미널에서 혹한과 폭염에 시달리고 있다고도 주장했다.

이에 노조는 물류센터를 하청에 맡기는 본사를 지적하며, CJ대한통운이 직접 물류센터를 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김진일 정책국장은 “근본적인 문제는 외주화 때문이다”면서 “본사가 물류센터 관리를 하청업체에 맡기고 있다. 사망한 노동자도 하청업체랑 계약한 사람들이다. 본사가 직접 물류센터를 관리하고, 재발방지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노조는 본사가 노조와의 교섭에 응할때까지 파업을 계속한다는 입장이다. 파업을 끝낼 키를 CJ대한통운 본사가 쥐고 있다는 것이다. 택배노조는 지난해 11월 고용부로부터 노동조합 설립 필증을 받고 합법 노조로 공식 출범했다. 다만 회사는 이들과 단 한 차례도 대화에 나서지 않은 상황이다. 노조는 “정부가 인정한 합법노조의 교섭 요청에 대해서도 본사는 무시로 일관하고 있다”면서 “본사는 택배대란을 막을 수 있는 키를 자신들이 쥐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CJ대한통운 측은 회사가 인정한 노조와는 임단협을 진행하는 등 대화를 계속해 오고 있다는 입장이다. 택배연대노조와 개별대리점의 협의를 통해 사태를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CJ대한통운 관계자는 “회사는 1961년부터 활동중인 CJ대한통운 노동조합(조합원 2800명)과 임단협에 합의한 바 있다. 택배연대노조와도 원칙적으로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면서 “다만 개인사업자인 택배기사가 근로자 지위를 가질 수 있느냐에 대해서는 현재 행정소송을 진행 중에 있다. 재발 방지 대책도 고용부와 보완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현재 파업에 따른 택배기사 충원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이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파업이 얼마나 지속될 지 파악할 수 없다. 배송에 차질이 없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21일 택배연대노조가 CJ대한통운 본사 앞에서 총파업 집회를 열고있다. /사진=박견혜 기자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