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 GS25, 세븐일레븐 점주들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건비 30만원 더 올라”…본사 향해 ‘상생’ 외쳐

“지금도 일주일에 5일씩 12시간을 일하고 있다. 총 60시간을 일하면서도 순수익이 100만원이 안 된다. 최저임금이 더 오르는 내년에는 여기에서 25만~30만원 더 나갈 것이다. 이건 죽으라는 소리다.” (편의점주 A씨, 충북 충주)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이 두달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편의점 빅3 편의점주들이 집단 행동을 예고하고 나섰다. 이들은 올해 최저임금 인상도 버거운 상황에서 내년도 추가 인상까지 더해지면 더이상 편의점 운영이 불가하다면서, 본사가 이같은 부담을 나눠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6일 CU(씨유), GS25, 세븐일레븐 등 주요 편의점 3사의 가맹점주와 전국가맹점주협의회는 서울 한국편의점산업협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저임금 인상부담을 본사가 분담하고, 저매출 점포의 퇴로를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6일 편의점 가맹점주들이 서울 한국편의점산업협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본사에 대한 요구사항을 발표했다. /사진=박견혜 기자
2019년도 최저임금은 8350원이다. 이는 올해보다 10.9% 인상된 금액이다. 최저임금 적용 대상은 1인 이상 근로자를 사용하는 모든 사업 또는 사업장이기 때문에 아르바이트생을 1명이라도 둔 편의점주의 경우, 당장 1월 1일부터 시급을 8350원으로 올려줘야 한다. 주 40시간 근무 기준으로 주휴수당을 포함해 월 209시간 만근할 경우 월급은 174만5150원 이다.

올해 최저임금 인상분에도 아직 적응하지 못한 상황에서, 또 다시 최저임금이 오르게 되면 매장 운영이 어렵다는 것이 이들 주장이다. 협의회에 따르면, 2008년부터 2012년 까지 본사매출액은 급격히 증가하는데도 가맹점주 매출액은 오히려 감소 했다.

다행히 2013년 가맹사업법이 개정돼 단체구성권, 거래조건협의요청권이 도입되고, 출점 시 동일 브랜드 간 250m 거리제한 등이 제도화되면서 한동안 전체 편의점 수 증가세도 주춤하고 수익배분구조도 시정돼 양자의 수익이 비례구조로 전환되기도 했다. 그러나 2014년 이후 다시 과도한 출점으로 편의점 수가 급증하면서 2016년 또다시 점주 수익이 곤두박질 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편의점주들은 “최저임금 인상부담 본사 분담하고 저매출 점포 퇴로 보장해야 한다 ”고 강조했다. 이들이 이날 요구한 사항은 크게 △폐점위약금 철폐하고 한시적 ‘희망폐업’ 시행하라 △실질적인 최저수익 보장으로 무분별한 출점 중단하라 △지원금 중단 이유로 24시간 영업강제 중단하라 등 3가지였다.

이날 자리에 참석한 이성종 세븐일레븐 가맹점주협의회장은 “급격한 인건비 인상과 치열한 대기업 본사의 출점 경쟁으로 죽느냐 사느냐 기로에 놓여있다”면서 “전 계약기간 동안 최저임금 수준의 최저수익 보장, 저매출 점포에 대해 위약금 없는 희망폐점 실시, 명절·경조사 시 자율휴무 등 상생안을 실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같은 가맹점주들의 요구에도 본사는 별다른 반응이 없는 실정이다. 협의회에 따르면, 지난 9월 21일 협의회가 본사에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에 대한 상생협약 협상을 요구했으나, 가맹본부는 1개월이 지난달 24일 첫 회의에 응하는 등 시간끌기로 협상을 지연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올해 초 최저임금 16.4% 인상으로 편의점 본사 3사 모두 가맹점과의 상생협약을 내놨지만 현금 지급이 아닌 탓에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는 게 점주들 주장이다. CU, GS25, 세븐일레븐 등 본사 지원은 전기료·폐기 지원 등 실비(實費)​만 지원하는데다, 이조차 24시간 운영 점포에 한해 시행되기 때문에 전체 편의점주를 아우를 수 없다는 것이다.

게다가 점주협의회는 노동조합이 아닌 탓에 마음대로 파업을 할 수도 없다고 했다. 이 탓에 본사에 대한 점주들의 힘이 약할 수밖에 없다. 이날 만난 한 가맹점주는 “노조는 파업이나 할 수 있다. 하지만 점주들이 파업을 할 경우에는 담합행위가 되기 때문에 이조차 불가능하다. 이 탓에 별다른 이윤이 나지 않으면서도 본사에 끌려다닐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토로했다.

이같은 상황에 대해 편의점 본사 관계자는 “아직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에 대한 협의 계획은 없다”면서 “영업지원금 형태로 본사에서 실비 지원이 나가기 때문에 현금 지원은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