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사회적 현물이전 반영 통계 첫 발표…“현물 복지, 소득재분배 효과 있어”

2일 정부세종청사 기획재정부에서 박상영 통계청 사회통계국 복지통계과장이 사회적 현물 이전을 반영한 소득통계 시험작성 결과 브리핑을 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의료·보육 등 분야에서  현금이 아닌 현물로 제공하는 정부의 복지 서비스가 소득 하위 20%의 계층의 소득을 연간 523만원 끌어올린 효과가 있었다는 통계 결과가 나왔다. 현물 복지로 소득 재분배가 일정 정도 이뤄진다는 분석이다.

통계청은 2일 ‘사회적 현물 이전을 반영한 소득통계 시험작성 결과’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16년 사회적 현물이전소득의 균등화 평균은 466만원이었다. 2016년 사회적 현물이전소득은 의료, 교육, 보육, 공공임대주택, 국가장학금, 기타바우처 등 약 121조원으로 추정됐다.

2016년 전체 계층의 균등화 평균 처분가능소득은 2974만원이었다. 여기에 사회적 현물이전소득을 더한 조정 처분가능소득은 3440만원이었다. 소득증가율 15.7%다.

현물이전소득의 효과는 저소득층일수록 높았다. 저소득층일수록 현물이전소득이 많고 처분가능소득이 작기 때문이다.

2016년 균등화 평균 현물이전소득은 1분위 523만원, 2분위 481만원, 3분위 468만원, 4분위 453만원, 5분위 403만원이었다. 처분가능소득과 합한 조정처분가능소득은 1분위 1398만원, 2분위 2246만원, 3분위 3015만원, 4분위 3959만원, 5분위 6582만원이었다.

소득증가율은 1∼5분위 각각 59.8%, 27.3%, 18.4%, 12.9%, 6.5%였다.

이 같은 현물이전소득이 불평등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2016년 처분가능소득의 지니계수는 0.357, 소득 5분위 배율은 7.06배, 상대적 빈곤율은 17.9%였다. 여기에 현물이전소득을 반영한 조정처분가능소득 경우 이들 지표가 각각 0.307, 4.71배, 12.2%로 낮아졌다. 이들 수치는 낮을수록 불평등 상태가 낮음을 의미한다.

 

 

2016년 기준 / 자료=통계청

2016년 전체 현물이전소득 가운데 교육 부분의 비중이 가장 컸다. 교육의 균등화 평균 현물이전소득액은 246만원이었다. 의료 179만원, 보육 17만원, 국가장학금 13만원, 공공임대 6만원, 기타바우처 5만원의 순이었다.

소득재분배 효과는 의료 부문이 가장 컸다. 의료 부문 현물이전만 더해 계산한 조정처분가능소득 기준 지니계수는 0.331이었다. 교육 분야 현물이전만 더해 계산한 경우 0.336 보다 효과가 높았다. 의료부문의 현물이전은 은퇴연령층의 빈곤율도 32.5% 개선했다.

한국의 현물이전소득 규모나 소득재분배 효과는 선진국 보다 낮았다. 2007년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 27개국의 현물이전 소득을 통한 가처분 소득 증가 효과는 29%로 한국 15.7%보다 컸다. 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들의 지니계수는 현물이전 소득을 반영할 경우 20%까지 줄었다. 한국의 지니계수 감소효과는 13.9%였다.

다만 이 경제협력개발기구 자료는 2007년 소득에 대해 분석한 결과다. 한국은 2016년 소득에 대해 분석한 결과로 직접 비교는 어렵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