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무역전쟁에 불확실성 커진 영향…가계부채·부동산 등 금융불균형 누적도 유의해야

자료=한국은행

 

글로벌 무역전쟁, 가계부채 누증 등 대내외 불확실성 증가에 따라 한국 금융 시스템 안정성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한국은행 분석이 나왔다.

2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2018년 9월)’에 따르면 금융시스템의 전반적인 안정 상황을 나타내는 금융안정지수가 올해 7월과 8월 각각 7.4와 6.9로 주의(8~21) 단계에 근접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개성공단 폐쇄 등이 있던 2016년 2월 11.0을 기록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금융안정지수는 금융안정상황에 영향을 미치는 실물과 금융 6개(은행, 금융시장, 대외, 실물경제, 가계, 기업) 부문 20개 월별 지표를 표준화해서 산출한다. 지수는 0에서 100 사이 값을 가지며 숫자가 커질수록 금융 상황의 불안정을 나타낸다. 금융안정지수는 정상, 주의(대내외 충격 영향을 받지만 심각하지 않은 단계), 위기(대내외 충격이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 단계로 구분한다.

이 지수는 올해 1월 1.6에 불과했다. 하지만 올해 2월 3.3, 3월 4.4, 4월 5.3, 5월과 6월 각각 4.5로 상승세가 지속됐다. 이 지수가 22 이상으로 치솟으면 금융안정 상황은 위기단계로 진입한다.

한국은행은 최근 지수의 급등 배경에 대해 올해 7월 이후 글로벌 무역전쟁, 자산시장 불안정성 등 대내외 불확실성 증대로 경제주체들의 심리가 위축된 탓이라 분석했다. 다만 한국은행은 여전히 한국의 금융시스템이 비교적 안정된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은행은 앞으로 대외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에 소득 증가속도를 웃도는 가계부채 증가율, 서울 등 집값 오름세 확대 등 금융불균형 누적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한국은행이 배포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159.8%였던 가처분소득대비 가계부채비율은 올해 2분기 말 기준 161.1%(추정치)로 늘었다. 가처분소득대비 가계부채비율은 가계가 임의로 처분이 가능한 소득으로 가계부채를 갚는 능력을 나타내는 비율을 말한다. 같은 기간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83.8%에서 84.8%로 1%포인트 증가했다.

한국은행은 서울 주택가격 상승 현상도 금융안정 측면에서 세심하게 살펴봐야 한다고 밝혔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공급 부족, 투자수요 집중, 낮은 대출 금리 등으로 서울 집값이 강남에서 비강남권 전역으로 상승세가 확산됐다”며 “부동산 부문에 대한 익스포저도 커지고 있어 이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