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정부 분위기 상 외압 있을 가능성 낮아…조합원 수 어떻게 확보하느냐가 문제

17일 서울 한국노총에서 포스코노동조합 재건추진위원회 발족 및 부당노동행위 중단 촉구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사실상 ‘50년 무노조 경영’을 깨는 포스코 노조 출범 소식에 재계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다만 노조가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기 까진 와해공작 등 외부 압력보다 가입률을 끌어올리는 내부 단속이 중요하게 작용할 전망이다.

금속노조 포스코지회는 지난 17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식 출범했다. 이들은 “포스코의 무노조 50년은 경영 감시 없이 회사의 독선과 독주를 견제하지 못했고 산업재해가 끊이지 않는데 이를 은폐했다”며 “분노가 쌓이고 뭉쳐 폭발한 것이 바로 금속노조 포스코지회”라고 노조 출범 이유를 밝혔다.

이날 심상정 정의당 의원은 “과거 군사문화 식의 노조탄압, 또 유령노조 설립 등 노조 무력화 기도를 획책한다면 절대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으나, 실제로 포스코 노조 무력화 시도는 일어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게 재계의 공통된 시각이다. 

 

한 그룹 관계자는 “요즘 분위기에서 노조가 생기지 않게 막거나 와해하려 한다면 어떻게 되는지 다들 알고 있다”며 “회사 측에선 당연히 어떤 액션도 취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삼성이 과거 노조와해 의혹으로 거친 검찰 수사까지 받는 상황에서 노조를 무력화하려는 시도가 일어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것이다.

다만 포스코 노조는 안정적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자신과의 싸움을 이겨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포스코 노조의 성패는 가입률에 달렸는데 현실적인 장벽들이 존재한다.

우선 포스코 직원들이 대체로 임금 및 복리 수준이 높아 노조가입을 할 유인이 상대적으로 적다. 물론 대우가 좋다고 해서 노조활동을 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연봉협상 등에 있어 부당대우를 받거나 근무 환경이 열악한 곳에 비해 상대적으로 노조활동을 할 가능성이 낮다. 

 

무노조 경영 대기업에 종사했던 한 인사는 “일은 많지만 연봉협상도 원칙에 따라 합리적으로 하고 인상률도 마음에 들고 보수도 만족할 수준이어서 다들 별 불만 없이 버틴 것 같다”고 전했다. 지난해 말 기준 포스코의 1인당 평균 급여는 8800만원이다.

노조가입률이 높으려면 전 직원들을 움직이게 할 만한 촉매제와 같은 사건이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오너일가 전횡으로 면허 취소 위기에 놓은 진에어 직원들이 노조를 출범했던 것을 들 수 있다. 포스코 노조 역시 그간 부당한 대우들이 많아 불만이 쌓여 있다고 주장하지만, 전 직원을 폭발시킬만한 특정사건은 없었다는 점에서 사정이 다르다.

이러한 조건에 조합원이 나뉠 수 있는 가능성까지 있는 상황이다. 한국노총은 17일 ‘포스코노동조합 재건추진위원회’를 발족하고 노조를 설립하겠다고 밝혔다. 한 노조로 가서 조합원 확보를 하는 것도 바쁜데 한 지붕 두 노조 체제가 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만일 초기부터 양측 간 신경전이나 주도권 싸움이 펼쳐진다면 직원들의 반감을 살 우려가 있다.

다만 이 같은 어려움을 뚫고 충분한 조합원을 확보하면 직원 대부분이 생산현장에 종사하는 업종 특성상 상당히 강한 노조가 탄생할 것으로 보인다. ‘파업 카드’ 등 강력한 집단행동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최정우 회장은 17일 “(노조가 설립되면)당연히 대화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포스코 관계자는 “노조 무력화 등을 시도한 적도 없고 앞으로도 물론 그럴 일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