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산하 금속노조와 연대할 경우 영향력 막강할 듯, 구성원 다수가 생산직군인 점도 부담…노조설립 실제 이뤄질지 여부 주목

지난 7월 27일 포항 포스코 본사 대회의장에서 최정우 신임 포스코 회장이 취임사를 하고 있다. / 사진=포스코

삼성에서 시작된 무노조 경영 붕괴 바람이 포스코까지 옮겨가 불고 있다. 삼성은 창업주 때부터 무노조 경영을 이어오다 올 2월 노조가 설립됐고, 포스코는 지난 50여년 동안 사실상 무노조 경영을 해오고 있다. 재계에선 업종 특성상 포스코에서 노조가 결성된다면, 기업 경영에 특히 더 영향이 클 것으로 보고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 일부 직원들이 최근 ‘포스코의 새로운 노동조합 준비위원회'를 발족시키고 노조 설립을 위한 준비절차에 들어갔다. 지금까지 포스코 직원들은 노조가 아닌 노경협의회를 통해 회사 측과 임금협상 등을 해왔다. 사실상 무노조 경영을 이어온 것이다.

아직은 준비단계지만 어느 정도 세(勢)가 확보되면 노조신청 절차를 밟을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포스코 노조는 민주노총 산하 금속노조와 연대할 가능성이 높아 일단 출범할 경우 강력한 힘을 갖는 강성노조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다.

포스코 노조 설립 움직임이 삼성의 경우보다 특히 더 주목되는 이유는 노조가 생길 경우 영향력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일단 민주노총 금속노조와 함께 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 외에도 구성원들 상당수가 사무직이 아닌 생산직군이라는 점도 노조가 힘을 받을 수 있는 토대가 된다. 생산직 종사자의 파업은 곧바로 생산 차질로 직결된다.

한 재계 인사는 “노조는 특히 산별노조가 있는 직군에서 결성되기가 수월하고 더 힘있게 활동할 가능성이 높다”며 “사무직은 상대적으로 생산직에 비해 파업 등이 부담돼 노조활동에 집중하기에 제약이 많다”고 전했다. 포스코의 전 직원 1만7000명 중 70% 이상이 포항 및 광양제철소에 근무한다. 이들이 모두 생산직에 임한다고 할 순 없지만 상당수가 현장에서 근무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지표다.

특히 미국의 관세 폭탄으로 경영 부담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강성 노조의 출범 가능성은 올 7월 우여곡절 끝에 출범한 최정우 포스코 회장 체제에서의 첫 난제가 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이처럼 일단 노조가 생성되면 힘을 받을 가능성이 높지만 실제 노조설립까지 이어질지 여부는 더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아직까진 단체 카카오톡 채팅방 수준에 머물러 있고 구체적 실체가 표면상 드러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단체 채팅방에 여러 사람들이 있는 걸로 알고 있다​면서도 ​다만 어떤 사람들이 참여하고 있는 지는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한편 삼성, 포스코 뿐 아니라 기존에 무노조 경영을 이어오던 기업들에서도 노조설립 바람이 불게 될 것으로 관측된다. 최근엔 게임업계에서도 넥슨에 이어 스마일게이트까지 노조가 설립되기도 했다. 정권 차원에서 노조를 용인해야 한다는 분위기도 강한데다, 삼성이 노조파괴 의혹으로 수사를 받고 있는 만큼 기업들은 노조설립 움직임에 함부로 개입하기 힘든 입장이다.

 

한 4대 그룹 관계자는 “지금 상황에 노조가 만들어지는 것을 강제로 막으려는 간 큰 기업은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