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 2Q 영업익 전년 대비 44.2% 하락… 롯데마트는 상반기 1220억원 영업적자 기록

2분기에도 대형마트 실적 부진이 계속됐다. 영업시간도 한 시간 줄어든데다, 정부 규제로 인한 출점 둔화까지 겹치면서 영업익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증권업계에서는 하반기와 내년에도 실적 개선이 더딜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국내 대형마트 1위 이마트는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이 전년 대비 8.5% 오른 3조9894억원을 기록했다고 지난 9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8.0% 감소한 533억원을 기록했다. 창고형 할인점인 트레이더스의 매출과 영업익이 동시에 크게 늘었지만, 할인점 부문이 실적을 끌어내렸다.

 

할인점 2분기 매출은 2조698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 줄었다. 영업이익은 40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무려 44.2%나 줄었다. 올해 상반기 전체로 보면, 매출과 영업익이 각각 0.9%, 24.1% 감소한 5조6041억원, 1880억원으로 집계됐다. 

 

롯데마트의 경우에도 상황이 크게 다르지 않다. 롯데쇼핑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7% 감소한 349억원을 기록했다고 10일 공시했다. 백화점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와 비교해 30% 오른 2000억원을 기록했지만, 롯데마트에서의 부진이 뼈아팠다. 롯데마트 2분기 매출액은 1조5810억원으로 전년 대비 1.2% 감소했고, 영업적자 780억원을 기록했다. 상반기 전체로 따지면 롯데마트는 1220억원의 영업적자를 낸 것이다. 

 

 

/자료=이마트 IR, 그래픽=조현경 디자이너
롯데마트의 경우, 중국 현지 매출 하락이 직접적인 실적 악화의 이유로 꼽히지만 국내 소비 부진 역시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양사 모두 할인점 영업시간 단축과 전문점 출점 비용, 인건비 부담 등으로 영업이익이 감소한 것이다. 이마트와 롯데마트 올해 초부터 마트 영업 마감 시간을 기존 12시에서 11시로 1시간 단축했다. 

 

규제 역시 실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10년 개정된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법(상생법)’에 따르면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마켓(SSM)은 영세 지역 소상공인 상권 보호를 위해 전통시장 1㎞  내에는 출점 할 수 없다. 신규 출점이 까다로워진 것이다. 

 

해당 조건을 충족시키더라도 출점 발표 직후 지역 상공인들의 반발로 개발이 미뤄진 사례도 있다. 서울시 마포구 상암DMC(디지털미디어시티)역 인근 롯데복합쇼핑몰 개발사업은 망원시장 등 주변 상인 반대로 수년째 미뤄지고 있다. 2012년 개정된 유통산업발전법(유통법)에 따라 도입된 월 2회 의무휴업 규제도 매출 하락의 원인으로 꼽힌다. 

 

이 탓에 국내 대형마트 점포수 증가는 현재 주춤한 상태다. 이마트의 경우, 출점은커녕 지난해와 올해 합쳐 매장 수가 오히려 4곳이나 줄었다. 2000년대 들어 출점이 가속화했던 이마트는 2006년 한 해에만 19곳을 새로 출점하는 듯 전성기를 구가했다. 하지만 2013년 이후 출점 수가 1곳으로 뚝 떨어지면서 지난해와 올해 각각 2곳씩 기존 점포를 정리했다. 

 

이에 대한 활로 찾기로 대형마트들은 전문점 출점과 온라인몰 강화에 역점을 두고 있다. 이마트는 노브랜드 매장과 삐에로쑈핑 등 전문점을 늘리고 있고, 온라인사업에 1조를 투자키로 했다. 롯데 역시 온라인 채널 강화를 위해 향후 5년간 3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