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개 중 일부 업체 정밀감리 착수…출처 불명 블랙리스트 확산 등 불안 고조

그래픽=김태길 디자이너
금융감독원이 제약·바이오업계 테마감리 실시 후 이중 일부 업체를 대상으로 정밀 회계감리에 착수하면서 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이 가운데 업계 불안을 반영해 출처와 근거가 불분명한 제약·바이오 블랙리스트가 최근 떠돌고 있다.

 

2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테마감리를 실시했지만 결과 발표는 늦어지고 있다. 업계는 금감원 테마감리가 가져올 후폭풍에 잔뜩 긴장하며 결과 발표 시기에 촉각을 세웠다.

 

금감원은 지난 4월 연구·개발(R&D)비용 자산처리 비중이 높은 10개 제약·바이오 기업에 대한 테마감리에 착수했다고 밝힌 바 있다. 금감원 회계기획감리실 기획감리총괄팀이 이번 테마감리 총괄작업을 진행해왔다. 업체별 감리 작업은 기획감리1, 기획감리2, 기획감리3팀이 담당해왔다.

 

금감원이 이처럼 테마감리에 착수한 것은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R&D비용을 자산으로 처리하는 회계처리 기준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 지난 2016년 말 기준 152개 제약·바이오 상장기업 중 55%를 점유한 83개사가 R&D 비용을 무형자산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개발비 대부분을 자산이 아닌 비용으로 잡는 글로벌 제약사와 다른 회계기준을 적용한 것이다.

 

특히 금감원은 10개 제약·바이오 기업 중 일부 업체들을 대상으로 정밀감리에 착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테마감리 대상 10개 기업 중 상대적으로 R&D비용의 자산화 비중이 높아 자세한 감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금감원이 테마감리와 정밀감리를 병행하며 회계기준을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하자 관련업계 불안은 커지고 있다. 이같은 업체들 심리를 파고든 것은 최근 업계에서 확산되는 회계기준 테마감리 대상업체 블랙리스트다. 리스트는 8월초 테마감리 결과가 발표될 가능성이 있으며, 특정업체의 경우 그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R&D 비용중 경상개발비 비중 등으로 매우안정권, 안정권, 보통, 조금 위험, 위험 등 5개 등급으로 구분해 제약사와 바이오기업 실명을 거론한 것이 특징이다. 연구개발비를 100% 무형자산으로 처리한 모 업체는 완전최악으로 분류되는 불명예를 겪기도 했다.

 

이같은 블랙리스트를 접한 모 제약사 직원은 우리 회사는 일단 안정권으로 분류됐으며, 아마도 이 분류는 감사보고서를 분석한 결과를 그대로 적용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모 바이오업체 관계자는 테마감리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에서 리스트가 돌고 있어 솔직히 불안한 마음을 감출 수 없다금감원이 가능한 조속한 시점에서 결과를 발표하길 희망한다고 언급했다.

 

금감원은 향후 감리 종료 시점을 예상하기 힘들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금감원 기획감리총괄팀 관계자는 해당 업체들로부터 충분한 소명을 들어야 하고, 복잡하고 이슈가 많으면 감리 기간이 길어질 수 밖에 없다면서 감리가 종료되는 시점을 언제라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