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위 인선‧권한 등 한계…혁신 가능성 낮을 것이라는 전망도

6‧13지방선거에서 참패한 자유한국당이 우여곡절 끝에 비상대책위원장으로 김병준 교수를 추인하며 본격적인 수습에 나섰다. 김 위원장을 중심으로 한 비대위 체제는 당 혁신과 더불어 허물어진 보수 진영의 ‘가치 재정립’ 임무도 부여받았다.

실제로 김 위원장은 18일 기자간담회에서 “(비대위의 임무 중) 제일 중요한 것은 결국 자유한국당의 새로운 가치와 혁신”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과제를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 김 위원장은 현역의원과 외부 전문가 등 비대위원 인선에 신중을 기하겠다는 각오도 내비쳤다. 

 

 

이렇듯 자유한국당이 비대위 체제를 본격화하며 당 혁신 작업을 시작했지만, 정치권에서는 벌써부터 우려하는 목소리가 일부 나오고 있다. 비대위원장‧비대위원 인선, 권한 차원‧혁신 방향 설정의 한계 등을 이유로 기대하는 효과를 거두기 어려울 것이라는 주장들이다.


우선 김 위원장이 ‘혁신 지휘봉’을 잡은 것을 두고 “김이 샜다”는 평가들이 나온다. 좀처럼 회복되지 않고 있는 당 지지율, 당내 계파간 갈등 등 당 안팎의 사정이 좋지 않아 비대위원장을 결정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긴 했지만, ‘전혀 다른, 새로운 인물’의 비대위원장을 강조했던 것과는 달리 ‘선방’ 차원에 그쳤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또한 아직 확정된 바가 없지만 비대위 인선과 관련해서도 신선한 인물이 나올 수 없다는 부분이 당 혁신 작업을 어렵게 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비대위의 권한 차원에서도 당 혁신에 분명한 한계가 존재할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특히 21대 총선이 약 2년 정도 남은 상황에서 공천권 없이 가시적인 혁신 성과를 보이기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다. 김 위원장은 추대 직후 당내 계파논쟁‧진영논리 등을 타파하겠다는 의지를 보였지만, 오랜 시간 동안 견고하게 굳어버린 이 문제들을 ‘무기’없이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때문에 비대위가 추진할 수 있는 부분은 당 운영 시스템 혁신과 보수 가치 재정립 작업, 세대교체 등으로 한정되는데, 이 부분에서 제대로 된 혁신 이미지를 이끌어낼 수 있을 지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당 운영 시스템 혁신 작업과 관련해 주요 이슈가 되고 있는 이른바 ‘제왕적 대표체제’를 없앤다고 해도 막상 공천이 시작되면 이는 금방 허물어질 것이라는 설명이다. 특히 당내 계파가 견고하게 자리 잡고 있는 상황에서 그 어떤 방안도 효과를 보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 보수 가치 재정립 과정과 관련해서도 새로운 개념이 등장할 가능성도 낮고, 나온다 하더라도 국민들에게 진정성을 전달할 수 있을지 의구심이 든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이러한 우려의 목소리들이 있지만, 비대위가 성공할 가능성도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여론이라는 것은 언제든 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득권을 내려놓는 등 행동의 변화와 함께 혁신의 진정성이 전달된다면 목소리를 내지 않고 있는 보수층과 대다수 중도층의 분명한 호응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