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 폭탄에 노조 파업 초읽기, 하반기 수익성 악화 불가피…중소 부품업체 경영난 가중, 고용인원 감소 전망

/ 그래픽=조현경 디자이너

올 상반기 국내 완성차 업체의 내수 및 수출 부진이 완성차 업체에 납품하는 부품사 및 협력사의 경영난으로 직결된 모양새다. 이어 하반기도 자동차 무역관세 및 임단협 등 굵직한 업계 이슈를 앞둔 까닭에 부품 제조업체 등의 경영난이 가중될 것으로 관측된다.

올초부터 이어진 국내 완성차 업체의 내수 부진이 지난달까지 두드러졌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내수 판매는 13만1826대로 전년 동기 대비 6.1% 줄었고, 같은 기간 국내 자동차 생산대수도 1년 전 보다 12.2% 감소했다. ​올 상반기 성적도 감소세를 이어갔다. 국내 완성차 5사의 내수 판매대수는 74만1356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75만9820대)보다 2만대 가까이 판매대수가 감소했다. 지난 2016년 판매대수(79만7049대)에 비해선 7%가까이 떨어진 판매량이다. 


상반기 수출 실적 감소도 뼈 아팠다. 올초부터 보인 수출 감소세가 회복의 기미 없이 이어졌다. 지난달 자동차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9.9% 감소했다. 자동차 수출은 지난해 12월 전년 동기 대비 34.3% 줄었다가 올해 1월 13.3% 증가로 반등했으나, 다시 2월(-14.5%)부터 3월(-8.7%), 4월(-8.6%), 5월(-0.8%) 등을 보이며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업계선 조업 일수 감소, 해외 재고 조정 등 사정을 감안해도 미국 등 수출 주력 시장에서의 판매부진이 두드러진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 같은 실적 부진은 완성차 업체에 직‧간접적으로 매출을 의존하는 부품 제조업체 및 1~3차 협력업체에 보다 큰 타격으로 직결됐다. 이들 업체는 상반기 경영 실적 악화에 이어 고용인원 폭이 대거 줄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달 자동차 제조업 관련 근로자는 9600명 감소했는데, 이중 약 70%를 차지하는 6500명은 완성차 업체가 아닌 부품 제조업체 근로자다. 특히 이들 부품 업체의 경우 지난해 12월 이후 7개월 연속 일자리가 줄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300인 미만의 중소 제조업체의 피보험자는 완성차 업체보다 큰 폭으로 감소했다. 상반기 창원공장 등의 인력 구조조정을 겪은 한국GM의 경우 부품을 납품해 온 협력사들의 경영난은 여전히 진행형이다. 한국GM에 플라스틱 부품을 납품해 온 한 협력업체의 대표는 “아직까지도 신규 인력 채용은 먼 일이다. 계속된 업황 부진에 일부 직원들이 회사를 자발적으로 떠나는 상황도 여전하다”고 설명했다.

하반기도 완성차 업체의 실적 적신호가 예상됨에 따라 이들 업체의 경영난도 가중될 것으로 관측된다. 미국의 자동차 관세 폭탄 및 노사 임단협 등 굵직한 이슈를 앞두고 있어 수익성 악화가 예상되는 까닭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자국에 수입되는 자동차에 관세 25% 부과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르면 내달 중으로 미국 상무부의 조사 결과에 따라 관세 부과 조치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지난달 산업통상자원부 및 현대차그룹이 “한국산 차량은 관세 조치에서 면제돼야 한다”는 입장을 담아 미국 상무부에 의견서를 제출한 데 이어 이달 8일 현대·기아차의 부품사들도 미국 상무부에 동일 내용의 의견서를 제출한 바 있다.

국내 자동차 업계서 선두로 달리는 현대차의 경우 올해 노사 임단협을 앞두고 장고에 들어간 모양새다. 노사는 여름휴가 전 임금 협상을 타결할 계획으로 현재까지 집중교섭에 들어간 상태지만, 이 과정에서 노사 입장 차가 좁혀지지 않을 경우 노조가 이달 내로 당장 파업에 돌입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하반기에도 상반기 기조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한다. 국내 완성차 업체가 신차를 출시하며 신차효과를 어느 정도 누릴 순 있겠지만 대내외적 악조건이 분명해 업계가 온전히 성장하기엔 한계적 측면이 있어서다”며 “트럼프 정부의 자동차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메이드 인 코리아’를 표명하고 대미 수출하는 모든 사업체에 타격이 있을 전망이다. 특히 국내 자동차 산업은 수직 하청구조가 뚜렷해 완성차 업체가 입은 실적 타격이 그대로 협력사 및 납품업체에 직결돼 경영난이 심화될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