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주질환 정도 심하고 오래 진행된 경우 치조골 소실 많아져…재생 위해 많은 노력 필요해

 

그래픽=김태길 디자이너

안녕하십니까. 서울미소그린치과 원장 강인호입니다. 요즘 치과에 가시면 치조골 이식에 대하여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번 글에는 치조골 이식술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치아의 뿌리는 치조골이라는 뼈에 치주인대라는 얇은 막을 통하여 단단히 묻혀 있습니다. 건강한 상태에서는 치조골이 잘 유지되어 치아가 잘 기능하지만, 치석 등이 치아에 붙어서 염증을 일으키는 경우 치조골이 소실됩니다. 치주질환의 정도가 심하고 오래 진행된 경우에는 치조골이 많이 소실됩니다.

 

조절이 되는 치주질환이라면 지속적인 치료와 유지 관리로 치아를 보존할 수 있지만, 관리가 잘 안되고 정도가 심한 경우에도 계속 유지한다면 많은 치조골의 소실이 일어나, 추후 치조골 재생을 위하여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무리하게 치주병이 깊은 치아를 유지하는 것은 추후 임플란트를 위한 치조골에 많은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잘 판단해야 합니다. 또한 뿌리에 금이 가는 경우 등도 치조골 소실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여러 요인으로 치아를 발치하면 치조골이 소실이 발생하며, 병적 요인과 치아 소실 기간 등에 비례하여 치조골 소실량이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치아가 발치되면서 병적인 요인이 제거되고 적절한 치유기간을 가지면 다양한 정도로 치조골이 다시 재생됩니다. 일반적인 임플란트는 4mm 정도의 직경과 10mm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데, 자연적인 치유 이후에도 임플란트를 위한 치조골의 양이 모자라면 치조골 이식을 통하여 새로운 뼈를 만들어야 합니다. 

 

치조골의 길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아래턱뼈의 어금니 부분은 큰 신경관이 지나갑니다. 신경관이 뿌리 근처에 존재하면 치조골의 길이가 짧아서 임플란트를 위한 치조골의 길이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윗턱뼈의 어금니 부분은 축농증과 관련된 상악동이 있는데, 치아가 없어지면 상악동이라는 공기주머니는 좀 더 아래로 내려와, 결과적으로 치조골의 길이가 짧아집니다.

 

상악동에서의 치조골 이식술은 많이 발전되어 수월해진 편이지만, 남아있는 치조골의 양이 적다면 이전의 고난이도의 술식을 진행해야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치조골의 폭이 좁은 경우 치조골 이식술이 필요합니다. 임플란트 주변에는 적절한 치조골이 존재하여 임플란트 주위염에 이환되지 않는 건강한 상태가 유지되므로 적절한 폭을 만들기 위한 치조골 이식술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치조골 이식재료의 종류는 본인의 뼈를 채취하여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수술 시에 주변에서 충분한 골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그렇지 못하면서 다른 필요성이 있을 때 상품화된 치조골을 사용합니다. 기증받은 시신에서 채취한 뼈를 이용하여 치조골 이식재를 만들기도 하고, 동물의 뼈를 이용하기도 합니다. 아니면 치조골을 인공으로 합성하여 사용하기도 합니다. 각각의 재료에 따른 치조골 생성 능력과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치조골 이식 부위의 특성에 따라 재료를 선택합니다. 

 

치조골 이식 후 치유 기간은 치조골 이식량, 잔존 치조골의 성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치조골 이식량이 많고 주변 치조골이 약하다면 오랜 치유기간을 가져야 합니다. 치조골 이식량이 많지 않고 조건이 좋다면 임플란트 식립과 같이 골이식을 시행하여 수술 횟수를 줄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식량도 많고 잔존치조골도 안 좋다면 미리 치조골 이식술을 시행하여 단단한 치조골을 만들고, 이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추가적으로 차폐막이나 구조물을 이용해야 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치조골 이식은 여러 가지 다양한 상황이 존재하므로 진단 후 자세히 설명을 들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예전에 비하여 기술과 재료가 많이 발전하여 비교적 편하게 치료 받으실 수 있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예전에는 치아를 보존하는 것에 주력하였지만, 임플란트가 보편화된 요즘 시대에는 치아 자체를 넘어서 치조골의 보존에도 신경쓰는 것이 좋습니다. 이상 치조골 이식술에 대하여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는 임플란트의 다양한 활용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