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치 정확도 향상·차량 간 통신 기술 결합 시 사고예방 효과 커…“4,5레벨 수준 자율주행차에 핵심기술 될 것”

/ 그래픽=조현경 디자이너
해외서 자율주행차 사고가 잇따르는 가운데 '실시간 초정밀지도'가 기존 센서 감지 시스템을 보완할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위치 정보의 정확도를 높인 것은 물론 주행 환경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특히 초정밀지도는 무인주행차 등 높은 수준의 자율주행차의 안전성을 뒷받침하기 위한 핵심기술로 평가된다.

올 초부터 자율주행차 사고가 잇따르며 자율주행 기술의 안전성이 도마 위에 올랐다. 지난 3월 미국 애리조나 주에서 해외 차량공유업체 우버가 운영하는 자율주행 차량이 보행자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한 데 이어 같은 달 캘리포니아 주에서도 테슬라의 ‘모델X’가 부분 자율주행 모드 작동 중 충돌사고가 발생해 운전자가 사망했다. 

 

24일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난 20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서 테슬라의 전기차 ‘모델S’가 도로를 이탈해 연못에 빠지며 운전자 사고가 발생했다. 현지 교통당국은 해당 차량의 자율주행 모드 작동 여부 등을 조사하는 중이라고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자율주행 사고의 원인으로 센서 시스템의 오작동을 보완할 보조 시스템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한다. 자율주행차의 ‘눈’ 역할을 하는 레이더, 라이더, 카메라 등 센서는 주행환경을 감지해 정보를 수집하는데, 주행환경이 크게 어둡거나 악천후가 발생하면 주변 사물을 감지하지 못할 가능성이 커지는 까닭이다. 센서 시스템이 첨단운전자보조기술(ADAS)로 활용되긴 충분했으나 완전 자율주행차 등의 안전성을 담보하기엔 아직 기술력이 부족하단 평가가 나온다.


업계 전문가는 “현재 차량에 탑재된 ADAS 시스템 등은 센서에 기반해 주로 단편적인 시각 정보를 인식하고 운전자에게 경고 알림을 주는 편이다. 주행 경로에 마주하는 장애물을 감지할 순 있으나 주행 상황 전반을 완벽히 이해하는 시스템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실시간 초정밀지도는 이 같은 센서의 한계를 극복할 기술로 주목받는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기존 디지털 지도는 실제 환경에 비해 평균 3m가량 오차 범위가 발생한다. 반면 초정밀지도는 이 오차범위를 10~25㎝수준으로 줄여 위치 정보의 정확도를 높인 디지털 지도다. 여기에 차선, 신호등, 가드레일 등 세세한 정보까지 모두 담아 3D 렌더링 기술 등을 통해 전반적인 도로 상황을 이미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문가들은 높은 수준의 자율주행차일수록 센서 시스템을 보완할 수 있는 통신기술이 필수적이라는 데 입을 모은다. 운전을 직접 통제하고 주행 경로를 설정하는 4,5레벨의 자율주행차의 경우 특히 실시간 주행상황을 감지하고 반영하는 디지털 지도가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차량에 탑재된 다양한 센서가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도로 이미지를 통합적인 그림으로 그려낸 지도라고 생각하면 된다”며 “차량 간 통신(V2V), 차량과 네트워크 간 통신(V2N) 등 기술이 결합될 경우 수집된 주행환경에 대한 정보도 공유가 가능해 사고 방지 효과가 더 커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를 앞두고 국내·외 완성차 제조업체들은 물론 IT 업체들은 실시간 초정밀지도 개발에 뛰어들고 있다.  지난 2월 독일 자동차 제조그룹 다임러그룹은 초정밀지도 개발업체 ‘히어’와 함께 메르세데스-벤츠 차량의 자율주행 기술에 결합될 지도 기술 개발에 나섰다. 

국내선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에스모가 미국 3D 초정밀지도 개발업체 ‘카메라’와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이동통신사도 해외업체와 적극적으로 업무 협약을 맺으며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SK텔레콤은 해외 네비게이션 개발 업체, 전장 업체와 업무협약을 맺으며 전세계 표준으로 쓰일 수 있는 초정밀지도 개발에 나섰다.

SK텔레콤 관계자는 “V2V 등 플랫폼을 도입해 주행경로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들이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방향으로도 사업을 구상하고 있다. 무인차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에 대응하기 위해서다”라며 “다만 주행정보 공유에 있어서 위치 정보 등 개인 정보는 데이터의 공개 범위에 제한적인 상황이다. 이 부분 논의를 계속 이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