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준모 성균관대 교수 “로봇화 잘 되면 일자리 창출”…“대기업 노조는 조직원 고용안정 위해 로봇화에 적대적”

16일 수원 영통구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에서 조준모 성균관대 경제학과 교수가 '4차 산업혁명시대 로봇화와 고용, 대응전략'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 사진=변소인 기자

경직적 임금체계와 근로시간 단축이 로봇화를 부추긴다는 주장이 나왔다. 로봇밀도 1위인 한국에서 기업이 평탄한 로봇화를 실현하려면 미리 인사관리에 나서야 한다는 조언도 이어졌다.

 
16일 수원 영통구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에서 제6회 산업기술융합 포럼이 열렸다. 이날 여러 기업 임원들이 참가해 ‘로봇 기술과 활용’에 관한 발표를 들었다.

첫 발표는 ‘4차 산업혁명 시대 로봇화와 고용, 대응전략’이라는 주제로 조준모 성균관대 경제학과 교수가 맡았다. 조 교수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 분야 가운데 로봇은 거의 모든 제조업 분야에서 자동화의 필수적 요소로 자리했다고 설명했다.

산업용 로봇은 미래 제조의 핵심 기술이라고 강조하면서 로봇으로 인한 실직 우려가 더 크게 부각되는 것 같아 아쉽다는 뜻도 내비쳤다. 세계적인 포럼에서는 로봇으로 수 백만개의 일자리가 없어지고 이로 인한 실직자들에 대한 대책이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에 대해 조 교수는 “로봇의 보편화로 인한 변화가 확대되지 않은 상황에서 미래의 일자리 파괴에 중점을 두는 것은 공포 분위기만 조성할 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내 유수 전자제품 제조업체 공장을 방문한 경험을 이야기하면서 매년 공장이 로봇으로 인해 진보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국제로봇연맹(IFR)에 따르면 한국 로봇 밀도는 2016년 기준 세계 1위다. 직원 1만명당 631대를 기록했다. 또 IFR이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산업용 로봇 주요 수요국의 연간 수요량을 분석한 결과 2015년 한국의 산업용 로봇 수요량은 1년 전인 2014년에 비해 50% 이상 증가했다. 이는 중국에 이어 2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조 교수는 이를 놓고 박수칠 일인지 걱정해야 할 일인지 의견이 갈리고 있는데 기술의 진보가 반드시 노동력 대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조 교수에 따르면 신기술은 노동 생산성을 상승시키고 기업 경제력을 강화한다. 이것이 확산되면 궁극적으로 노동 수요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는 제조업 분야에서 로봇이 왕성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앞으로는 비제조업인 서비스업 등을 중심으로 로봇화가 진행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의 경우 경직적 임금체계로 인한 노동비용,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인력 부족이 로봇화를 부추긴다고 분석됐다. 즉 로봇을 사용하면 호봉제에 따른 고 비용을 지불할 필요가 없고, 근로시간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뜻이다.

이런 요인으로 인한 로봇화는 생산직과 단순노무직 비율이 높은 기업, 중기제조업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강성한 노동조합을 갖고 있는 대기업의 경우 노조가 조직원의 고용안정을 위해 로봇화에 적대적인 입장을 취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노조의 이런 강경 대응에 맞서기 위해 기업 입장에서는 미리 인사에 대해 준비하는 방법이 제안됐다. 조 교수는 “미리 서로 대비하면서 (로봇화)를 연착륙시키면 적은 비용으로 적은 갈등을 겪을 것”이라며 “인력을 왕창 뽑아놓고 재배치하는 등의 대처를 하면 노조 입장에서도 수용하기가 어렵다. 미리 혜안을 갖고 신규채용을 줄이는 등 5년~10년치 인사관리 전망을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