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발전 ‘발전분야 대북 협력사업안’ 구상…산업부 “협의 및 검토한 적 없어”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4월27일 오후 판문점 평화의 집 앞에서 판문점 선언을 발표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한국동서발전이 북한에 풍력·석탄화력발전소 건설 등 대북진출 방안을 검토했다. 다만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러한 내용을 정부 차원에서 검토 및 협의한 적은 없다고 밝혔다.

최근 한국동서발전은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권칠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발전분야 대북 협력사업안’을 제출했다. 8일 권 의원실로부터 받은 이 자료에 따르면 동서발전은 북한 전력난 해소를 위해 태양광 및 풍력 발전소, 화력발전소 건설을 검토했다.

우선 동서발전은 단기적으로 북한주민 민생해결용 신재생에너지 건설 계획을 내놨다. 태양광과 풍력발전소 등 신재생에너지는 화력발전설비(6~8년)에 비해 사업준비 기간이 3년으로 짧다. 이에 북한 주민의 전력난 해소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동서발전은 23㎿ 규모의 풍력발전소를 건설 시 북한 주민 7만5000명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고 밝혔다.

동서발전은 중기계획도 내놨다. 남북 접경지역인 연천군이나 비무장지대에 평화발전소를 짓는 방안을 검토했다. 이 발전소는 북한의 산업시설 전력 공급용으로 구상됐다. 액화천연가스(LNG)와 액화석유가스(LPG)를 연료로 사용하는 500​급 복합화력발전 방식이다.


동서발전은 평화발전소를 지으면 평양 인구 260만명의 2배가 쓸 수 있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동서발전은 장기 계획으로 북한에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구상했다. 이를 통해 본격적인 북한의 산업경제 성장을 유도하겠다는 계획이다.

신규 석탄화력발전 건설 후보지로는 개성공단과 해주공업단지 인근의 해주, 원산공업지구와 금강산 관광지구에 근접한 원산, 광공업과 수산업 등이 발달한 김책 등 3곳을 검토했다. 이 곳 가운데 300MW급 2기 또는 500MW급 석탄화력발전소 2기를 건설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는 북한 발전소 설비용량의 8% 수준이다. 동서발전은 이를 통해 발전소 인근의 안정적 전력 확보가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동서발전은 북한의 노후 화력발전소 보수 및 성능개선 사업도 검토했다. 북한의 설비이용률은 2013년 기준 31.6%로 저조한 상황이다. 북한 화력발전소 총 9기 중 8기가 30년 이상 지났다.

동서발전은 북한의 노후 화력발전소의 보수 및 성능개선 시 발전소를 새로 짓는 것보다 예산이 덜 들어 단기간에 북한 전력난을 개선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동서발전은 이외에 수명이 남은 남한의 노후 복합화력 발전소 설비를 북한으로 이전하는 방안도 검토했다. 활용도가 낮아진 울산 1복합발전을 북한으로 옮긴다는 구상이다. 울산 1복합발전소 자리에는 신규복합발전소를 대신 짓는다는 계획이다.

다만 동서발전의 이 같은 대북사업안은 정부와 협의된 것은 아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이 안은 동서발전이 남북경협 여건이 충족했을 때를 대비해 아이디어 차원에서 자체 검토한 자료다”며 “정부는 이 내용을 검토하거나 동서발전과 협의한 적이 없다. 전력 분야 중장기 협력방안도 세운 바 없다”고 말했다.

 

 

2016년 북한의 발전설비용량은 766만kW로 남한의 14분의 1 수준이다. 북한이 실제 생산한 전력량은 239억kWh로 남한의 23분의 1 수준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