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기관 사칭 전화에 무조건 겁먹지 말아야…소비자 주의에 당국 근절 노력 합쳐져야 성과

보이스피싱 범죄가 늘고 있다. 피해를 당하지 않으면 '왜 그런 전화에 속을까?' 의아할 수 있다. 피해자 입장을 들어보면 '당할 수도 있겠다'며 상황이 이해된다. 

보이스피싱 기사를 쓰고 나면 기자 메일로 보이스피싱 제보가 끊이지 않는다. 읽고 있으면 기자로서 도울 방법이 없어 안타까움을 느끼게 한다. 그만큼 보이스피싱 피해가 심각한 수준이다. 보이스피싱은 피해자의 사회생활 영위가 불가능할 정도로 피해를 주는 심각한 범죄다. 이런 범죄가 날로 늘고 있다. 


최근 한 30대 중반의 한 여성은 검찰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피해를 당했다고 전해왔다. 피해자는 검찰을 사칭한 범죄자가 금융감독원 안전계좌라고 거짓으로 알려준 가상화폐 거래소 계좌에 5000만원을 송금했다. 뒤늦게 보이스피싱이란 것을 알고 지급정지를 신청, 경찰에 신고했지만 이미 늦었다. 


이 피해자는 "최대한 빠르게 대응했음에도 가상계좌에 입금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범죄자는) 비트코인 구매 후 외부 거래소로 출금했다는 최종 안내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보이스피싱 범죄자가 돈이 들어오길 기다렸다가 바로 이를 현금화한 것으로 파악된다. 다른 제보자는 은행 직원을 사칭한 대출 권유 보이스피싱 피해를 설명했다. 기자가 직접 보이스피싱 전화를 받기도 했는데, 온라인 거짓 구매 문자를 보내 개인정보유출을 근거로 보이스피싱을 시도하는 수법이었다.

금감원에 따르면 검찰·금감원 등 정부기관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피해가 사회초년생인 20~30대의 젊은 여성에서 주로 이뤄진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정부사칭형 보이스피싱 피해는 20~30대 여성이 전체 피해자의 50.6%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보이스피싱 범죄자는 피해자가 범죄에 연루되었다고 겁을 준 뒤 돈을 입금하도록 하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 신용등급 상향조정, 대출수수료 등을 명목으로 선입금을 요구하는 대출빙자형 보이스피싱의 경우 대출수요가 많은 40∼50대가 지난해 62.5% 이상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결국 개인정보가 보이스피싱 범죄자에게 있을 경우 유형별로 범죄 시도를 한다고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금감원 한 관계자는 "보이스피싱에 한 명이 걸릴 때까지 100통 이상의 전화를 돌리고 있을 것"이라며 "정부사칭형이나 금융기관 사칭형이라도 꼭 해당 기관에 확인해야 한다. 당황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보이스피싱은 날로 지능화하고 있다. 피해가 끊이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금감원도 이에 사기유형별로 피해자 특성을 파악하고 지속적으로 피해 근절을 위해 노력하지만 피해는 줄어들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가장 중요한 것은 금융소비자가 먼저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인 명의로 대포통장이 만들어졌다고 겁을 주더라도 섣불리 믿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대출이 필요한 사람에겐 대출빙자형 보이스피싱이, 미취업자에겐 취업사기 보이스피싱이 갈 수 있다는 점도 알고 있을 필요가 있다.

금융당국과 경찰도 보이스피싱 예방 활동 외에 보이스피싱 조직을 근절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예방책을 위한 홍보도 중요하나 피해 자체가 생기지 않도록 범죄자 검거도 신경써야 한다. 보이스피싱은 범정부차원의 지속적인 노력과 금융소비자의 주의를 통해 근절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