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승연·김오수·윤석헌 경합…文정부 금융개혁 추진에 비관료 출신 고수

공석이 된 금융감독원장에 원승연 금감원 자본시장담당 부원장과 김오수 법무연수원장, 윤석헌 서울대 경영대 객원교수가 유력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 사진=뉴스1

차기 금융감독원장에 비관료 출신이 거론되고 있다. 과거 정부와 달리 문재인 정부가 비관료 출신을 통해 금융 분야의 개혁을 고수하고 있어 전임 원장들의 잇단 낙마에도 불구하고 차기 금감원장도 비관료 출신이 기용될 것으로 보인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공석이 된 금융감독원장에 원승연 금감원 자본시장담당 부원장과 김오수 법무연수원장, 윤석헌 서울대 경영대 객원교수 세 사람이 언급되고 있다. 이에 대해 청와대에선 "결정된 바는 없다"는 입장이다. 

이번에 거론된 금감원장 후보 세 사람은 모두 비관료 출신이라는 공통점을 갖추고 있다. 문재인 정부가 금융권 개혁에 대해 강력한 의지를 천명하는 가운데 전임 금감원장 두명은 모두 비관료 출신에서 찾았다. 이번에도 이런 기조를 고수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특히 금융당국은 지난해부터 금융사 최고경영자의 셀프 연임이 작동하는 불건전한 지배구조와 과다한 가계대출에 의존하는 수익구조 개선, 만연한 채용비리 적발을 주요 개혁 이슈로 판단했다. 이런 개혁은 모피아(경제관료와 마피아의 합성어) 등 기존 관료 출신으로는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판단에서 새 금감원장을 외부에서 찾고 있다.

차기 금감원장으로 거론되는 원승연 금감원 자본시장담당 부원장은 민간에서 금융업무에 대한 깊이 있는 경력을 닦은 인물이다. 서울대 경제학과 출신으로 생명보험협회 보험경제연구소, 장기신용은행 경제연구소, 외환코메르츠투신운용,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 교보악사자산운용 등에서 현장 경험을 쌓았다. 명지대 경영학과 교수로 재직하다 최흥식 금감원장 시절 금감원에 합류했다. 

김오수 법무연수원장은 서울대 법대를 나와 사법고시 30회로 공직에 진출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장, 서울고검 형사부장, 대검찰청 과학수사부장, 서울북부지검장을 역임한 전통 법조 출신이다. 다소 금융권과는 거리가 멀지만 최근 금융권에 불거진 채용비리 논란 등 관행처럼 굳어진 문제점을 풀 수 있는 적임자로 꼽힌다.

윤석헌 교수는 현 정부의 금융개혁과 공통분모가 많은 인물이다. 금융위 금융발전심의회 위원장과 금융행정인사혁신위원회 위원장을 맡으면서 지난해 12월에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 차명계좌에 대한 과징금 부과, 금융공공기관 노동이사제 도입 등 금융개혁 권고안을 내놓은 바 있다. 특히 윤 교수는 금융회사의 지배구조 개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문재인 정부가 국정과제로 제시한 노동이사제가 금융사의 의사결정 과정의 투명성 제고에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이에 그는 금융공공기관부터 노동이사제를 도입할 것을 최종 권고했다.

금융권에 따르면 청와대는 6개월 사이 금감원장이 두명이나 낙마하면서 차기 금감원장은 이런 논란을 도덕적 논란에서 벗어날 수 있는 인물을 선택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이번에 세번째로 금감원장이 낙마할 경우 청와대 인사 검증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는 논란이 커질 수 있다"며 "금감원장의 잇단 낙마로 금감원이 조직 스스로의 잘못도 없이 이미지가 추락한 상황에서 무리한 인선은 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심인숙 중앙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와 고동원 성균관대 법학대학원 교수 등도 거론되고 있다. 경제관료 중에선 고승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과 유광열(29회) 금감원 수석부원장, 김용범(30회) 금융위 부위원장 등이 후보군으로 분류된다.

이와 관련 금감원 관계자는 "아직 정해진 바가 전혀 없다"며 "급하게 이뤄질 일은 아니라고 본다. 시장의 현실을 잘 아는 사람이 적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